학술논문
참여정부의 직업훈련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이용수 4
- 영문명
- Analysis on Participatory Government`s Vocational Training Policy and Its Preferable Direction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박양근(Park Yang Geun)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22권 제2호, 19~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rable directions of government`s policy of order to manage the effective vocational training system under the rapid environmental shift. Through the analysis on environments surrounding vocational training, following four issues are identified as a pending tasks which need to be given priorities; `implementation of demand-oriented high quality vocational training`, `support to the system for lifelong learning`, `expansion of the vocational security and consideration of measures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disadvantaged groups`, `improvement of training quality and enhancement of outcome-oriented management`. The preferable policy directions related on those pending tasks are as follow. Firstly, in terms of `implementation of demand-oriented high quality vocational training` it is necessary to train workers with high skill and support the upgrade-training for workers in order to reduce the mismatch between supply and demand in human resources. Secondly, measures to establish the linkage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vocational training system need to be considered and support policy for them need to be developed for assistance to the system of lifelong learning. In third, `expansion of the vocational security and consideration of measures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disadvantaged groups` is to establish target group who have been facing various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job and specified supporting system for their vocational training. Under the light of this sense Outplacement Center for worker to be transferred to other job is also need to be found in particular. Meanwhile in order to cope youth unemployment problems Committee on Youth Employment are necessary to be convened for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It is also precious matter that Reentering labour market programs for the housewives, which provides specified courses by their age, educational level and job experience are offered. Lastly, `improvement of training quality and enhancement of performance-oriented management` is related on the countermeasures to provide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met the workers various demands. Moreover guidelines for improving quality of the vocational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of systematic evaluation methods for efficiency of government`s vocational training budgets, and investigation and dissemination of best practices in this fiel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직업교육 동향
- 전문대학 현장실습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 Effects of Employer-Sponsored Training on Labor Productivity -Evidence from Taiwan`s Auto Parts Industry-
- 참여정부에서의 직업교육훈련 중장기 발전 방향
- 조직몰입과 직업몰입간의 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초,중등학교 교사집단을 중심으로-
- 지식기반 사회에 적합한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촉진을 위한 사내자격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기계설계 기술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공태도 측정도구 개발
- 참여정부의 직업훈련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