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320

영문명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Major Interest of Natural Science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강명희(Myung-hee Kang) 윤성혜(Seong-hye Yoon) 김도희(Do-hee Kim) 류다현(Da-hyeon Ryoo)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5권 제4호, 109~12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미래국가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과학인재양성에 힘쓰고 있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이공계 대학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특별법을 마련하고,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과 같은 사업을 시행하여 교육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이공계 내 다른 계열과 비교하여 현재 자연과학계열 인력은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은 전공 외 분야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인의 진로발달과정에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가능한 사회인지진로모형(SSCT)을 바탕으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변인의 예측력 및 이들 간의 경로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자연계열 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릿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진로준비행동으로 가는 경로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이 그들의 전공 분야와 관련한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제공되 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Korea has recently invested much of its effort in fostering talents in scientific field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future growth. From this perspectiv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come up with a special rule aimed at achieving the substantiality of engineering schools in universities. The ministry has been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by providing a tech-innovation center, industry-oriented education, and policies such as PRIME. Despite this support, most students in the natural science field end up being hired in fields not related to their majors. There has been a growing opinion regarding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for these students. In this research,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model that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areer development, this research would like to prac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influencing variables, such as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major interest. Data from 153 natural-science majors at A college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The result was that the data strongly supported the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influencing variables. Based on this result, we propose that career education that can promote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major interest is required to encourage students in the field of the natural sciences to purs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related to their maj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명희(Myung-hee Kang),윤성혜(Seong-hye Yoon),김도희(Do-hee Kim),류다현(Da-hyeon Ryoo). (2016).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5 (4), 109-129

MLA

강명희(Myung-hee Kang),윤성혜(Seong-hye Yoon),김도희(Do-hee Kim),류다현(Da-hyeon Ryoo).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5.4(2016): 109-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