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CS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 기관인증평가를 위한 평가자의 역할과 역량 분석
이용수 75
- 영문명
- Analysis of Evaluator`s Role and Capability for Institu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of NCS-based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영(Ji-young Park) 이희수(Hee-su Lee)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5권 제4호, 131~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NCS의 성공은 직업능력개발훈련 기관인증평가자의 역할과 역량에 달려 있다. 이 연구는 NCS기반 직업능력개발 훈련 기관인증을 위한 평가자의 역할과 역량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평가자의 구체적 역할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고, 필요한 지식과 기술, 태도 그리고 특성을 도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훈련 전문가와 심사평가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평가자의 역할은 총 8개로 운영자, 조정·중재자, 협력자, 분석가, 검증가, 기관평가자, 기관컨설턴트, 학습자로 분류되 었고, 각 역할에 따른 역량은 총 25개로 도출되었다. 지식 영역은 HRD 지식, NCS 지식,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식, 훈련기관인증평가 지식의 총 4개의 역량이 포함되었다. 기술 영역은 갈등관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문서작성 능력, 문제해결 능력, 분석 능력, 사전준비 능력, 시간관리 능력, 의사결정 능력, 정보이해·활용 능력, 종합적사고 능력,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이해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피드백 능력, 핵심파악 능력의 총 14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태도 영역은 객관성 및 공정성, 서비스 마인드, 소명의식, 윤리의식, 자기개발, 책임감, 팀워크의 총 7개로 정리됐다. 이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역할과 역량은 평가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추어 공정하고 체계적으로 인증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자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특히, 평가자의 경험과 역할에 따라 기초교육 및 향상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역량별 교육 프로그램을 모듈별로 설계하고, 지속적으로 평가자의 품질을 관리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valuator`s role and capability for institu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of NCS-based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in various ways evaluator`s minute roles using Delphi method, and to derive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integrity needed to verify the validity. To the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Delphi research for over three rounds by selecting education training professionals and review evaluation professions as professional panels. From the results, roles of evaluators were defined as the total eight items including operator, moderator-mediator, cooperator, analyzer, verifier, institution evaluator, institution consultant, and learner, and the derived capabilities with respect to each role were 25 items in total. The area of knowledge included four items of capabilities such as HRD knowledge, NCS knowledge, knowledg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and knowledge of training institu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and the area of skill comprised fourteen items of capabilities such as conflict management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word process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alysis ability, pre-preparation ability, time management ability, decision making ability, information comprehension and utilization ability,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understanding ability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institutions, communication ability, feedback ability, and core understanding ability. The area of attitude was summarized with the seven items in total including subjectivity and fairness, service mind, sense of calling, ethics, self-development, responsibility, and teamwork.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to design and provide education programs conducive to qualitative and systematic accreditation and assessment to evaluators equipped with essential prerequisites. It is finally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signing module education programs by ability and for managing evaluator`s quality in order to perform pre-service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according to evaluator`s experience and ro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생 추가 수요 분석
-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편입학의 직업지위 효과와 직업구조: 전문대졸자 vs. 일반대 편입학자
-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 대학 진로·취업 프로그램이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연구
-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
- NCS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 기관인증평가를 위한 평가자의 역할과 역량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