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64
-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for Gratitude Expression on the Intimacy and Loneliness of the Older Coupl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오경희(Oh, Gyeong-hui) 최민희(Choi, Min-hee) 김택호(Kim, Tack-ho)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7권 제2호, 357~3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1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의 D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 중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부부 14쌍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대기집단으로 7쌍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9월 17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90분씩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12회기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감사표현척도, 친밀감 척도, 외로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T검증(t-test)을 실시하였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회기별 언어 및 태도변화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통계결과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에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친밀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on the intimacy and loneliness of older couples. The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7 pair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waiting group of 14 older couples who indicat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among the elder couples who use D welfare center in G metropolitan city. The study took place from July 1 to September 17 in 2019 with a total of 12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session conducted including pre- and post-test on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The gratitude expression scale, an intimacy scale, and a loneliness scale were used to verify the program s effective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4.0 program. A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atmospheric group, and repeated measures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Further, statistical results were supplemented through the analysis for the language and attitude changes per session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examining the effect of gratitude expression group art therapy on intimacy of older coupl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e waiting group in intimacy. Second, as a result of loneliness of older coupl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eliness compared to the waiting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와의 진정한 만남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가족관계 회복의 여정 -
- 미술치료사의 사례개념화 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 PTSD 의료미술치료가 중증화상환자의 사건충격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동기강화상담이론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흡연지식, 태도 및 자기조절효능감과 금연에 미치는 효과
- 색채심리치료가 탈성매매 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아동의 인터넷 중독 증상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 ETC를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를 통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실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