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사례개념화 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이용수 931
- 영문명
- Research Regarding Art Therapist s Experience of Case Conceptualiz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하신혜(Ha Shin-hye) 김갑숙(Kim Gab-sook)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7권 제2호, 283~3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1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치료는 상담 및 심리치료와는 다른 고유한 치료 요인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미술치료에 적합한 사례개념화는 일반 상담 및 심리치료와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사들이 어떻게 내담자 문제를 개념화하고 치료 개입을 위한 계획과 사례 평가를 실시하는지 등 사례개념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목적적 표집에 의해 9명의 전문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귀납적 주제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25개의 개념과 11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미술치료사 사례개념화 과정 경험의 주제는 ‘사례개념화의 필요성 인식’ ‘사례개념화의 틀이 딱 맞지 않음을 알게 됨’ ‘미술치료 사례개념화 작성 시 느끼는 한계’ ‘사례개념화 하는 실제 방법’ ‘내담자에 대해 그림을 그려나가는 방법’ ‘미술치료에 적합한 사례개념화에 대한 요구 및 활성화 방안 모색’이다. 그리고 이 주요 범주를 중심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rt therapy has unique factor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ounselling and therapy. Thus, case-conceptualiz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an art therapy must be different from case-conceptualization for general counselling and therapy. This research studied the process of case-conceptualization, in the same way art therapists conceptualize a client’s problem at the therapy field, the way they plan for the therapy and the way the evaluation of cases takes place.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9 professional art therapists an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n inductive theme analysis. Through the data analysis, 25 concepts, 11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were founded. The categories of art therapist s experience of case-conceptualization process are: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case-conceptualiz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mponents for a case-conceptualization are not appropriate,” “the limitation of art therapy case-conceptualization,” “the reality of art therapy case-conceptualization,” “the understanding of client’s problem’ and ‘the finding of an appropriate case-conceptualization for an art therapy.” Based on these categor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와의 진정한 만남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가족관계 회복의 여정 -
- 미술치료사의 사례개념화 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 PTSD 의료미술치료가 중증화상환자의 사건충격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동기강화상담이론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흡연지식, 태도 및 자기조절효능감과 금연에 미치는 효과
- 색채심리치료가 탈성매매 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아동의 인터넷 중독 증상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 ETC를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를 통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실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