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과 우울
이용수 14
- 영문명
-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김정희(Kim, Jeong Hee) 현미열(Hyun, Mi Yeol) 김숙영(Kim, Souk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18권 제2호, 219~23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nurs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62 nurse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41.7%. Scores of job demand and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limate were very high. Logistic regressions showed that nurses, who were single, their 20s, had less than a career year, or working in private hospital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The sub-scales of job stress except interpersonal conflict and lack of autonomy contributed to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lower group; OR=0.248, 95% CI:0.14-0.43). Als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control coping strategies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lower group: OR=2.993, 95% CI: 2.11-6.30; OR=2.993, 95% CI: 1.51-5.65; OR=2.372, 95% CI=1.43-3.93).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job stress, especially organizational climate, insecurity of job, lack of reward, individual and organi- zational support, and control coping strategies contributed to a risk of depression. In order to prevent the depression, the organizational support and strategies will be needed. The depression in specific context and organizational climate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철강회사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건강관련 행위, A형 성격과의 관련성
- 요양기관에 입원중인 진폐증 환자에서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연관성
-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대인접객서비스 근로자의 성별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과 우울
- 한국 간호사의 직업관련성 건강문제
- 고혈압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간호사가 제공한 맞춤형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 파독간호사 삶의 재조명
- 보건관리자 의무고용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임보건관리자를 채용한 중규모 제조업 사업장을 중심으로 -
- 특실병동 간호사의 의사결정 경험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
-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
-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과민성 장 증후군에 관한 연구
- 산재보험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