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The Impacts of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n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in the Container Terminal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이상민(Lee, Sang Min) 문혜경(Moon, Hye Kyung) 오향옥(Oh, Hyang Ok) 최은경(Choi, Eun Kyung) 우경미(Woo, Kyung Mi) 이지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25권 제1호, 9~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P 시 S 부두의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일개 업체의 근로자 2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15년 4월22일부터 동년 6월 5일까지 수거하였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는 각각 평균 47.18점과 46.90점, 그리고 49.17점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이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8).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와 직무스트레스는 약한 역상관관계(r=-.15), 자아탄력성과는 약한 정상관관계(r=.36)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54배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군이 하지 않는 군보다 유의하게 2.25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관계갈등 정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97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고, 관계갈등을 감소하기 위하여 동료들과의 지지적인 관계를 향상시켜주며, 작업장 내에서 하루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한 후 퇴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ntainer terminal worker s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Methods: The subjects were 299 workers from one S dock in P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to June 5, 2015 and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of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were 47.18, 46.90, and 49.17 respectively.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ily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job str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ego-resilience. Recovery experience was 2.54 times higher for a high ego-resilience group than for a low ego-resilience group, and the group that exercised was 2.25 times higher, than the non-exercising group.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1.97 times higher, than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ego-resilience, decrease interpersonal conflict, and encourage over 30-minute-daily exercise for in container terminal worker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recovery experience of job stres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계열분석을 통한 산업재해율 예측
- 보건관리자가 인지한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 실태에 관한 업종별 비교: 요구도, 필요도, 수행도, 장애도 및 운영효과를 중심으로
- 근로자의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중재 연구의 분석적 고찰: 생태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 간호사의 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 실태와 감염관리 인식
-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 전자제품 제조업체 남성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 노인장기요양 인정조사원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만족 및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보건소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