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장기요양 인정조사원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만족 및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on Burnout among Staff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최형심(Choi, Hyoungshim) 이경은(Lee, Kyongeun) 조은희(Cho, Eun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25권 제1호, 19~2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조사원의 의사소통 능력, 공감만족,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191명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조사원이다. 자료는 전국 226개 센터 중 무작위로 추출된 24개의 센터에서 우편으로 수집되었다. Stamm’s의 전문직 삶의 질 측정도구(ProQoL)과 의사소통 측정도구를 활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결과: 공감피로가 소진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 반면, 공감만족은 소진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쳤다. 최종 모델은 소진변이의 69%를 설명하였으며,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공감피로였다. 결론: 인정조사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피로, 공감만족, 교육수준이었다. 그러므로 인정조사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공감만족을 높이고 공감피로를 낮출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on burnout among staff of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in Korea.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191 staff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Data were collected via mail from the 24 branch offices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the total of 226 center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amm’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and Communication Skills Test tool were included in questionnaire to detect. SPSS/WIN 20.0 was used to conduct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ompassion fatig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while Compassion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e explained variance for burnout was 69% and compassion fatigu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burnout among staff of long term care insurance servic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staffs’ burnout are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education level. Therefore, strategies to decrease compassion fatigue and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are needed to decrease burnout for staff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계열분석을 통한 산업재해율 예측
- 보건관리자가 인지한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 실태에 관한 업종별 비교: 요구도, 필요도, 수행도, 장애도 및 운영효과를 중심으로
- 간호사의 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 실태와 감염관리 인식
-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 전자제품 제조업체 남성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 노인장기요양 인정조사원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만족 및 공감피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근로자의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중재 연구의 분석적 고찰: 생태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 보건소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가상현실 기반 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아동 부모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