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전투 지역 군인의 비만 스트레스, 체중편견 및 건강관리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Effects of Obesity Stress, Weight Bias, and Heath Care on BMI in Soldiers of Non-combat Area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김경진(Kim, Kyeng Jin) 나연경(Na, Yeon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25권 제3호, 199~20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besity stress, weight bias and health care on Body Mass Index (BMI) in soldiers of non-combat area and to provide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Methods: This research involved 165 soldiers working in non-combat are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to 20, 2015.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t-test and ANOVA, Scheffé method post hoc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using IBM SPSS 22.0. Results: The mean score of obesity stress was moderate (19.05±5.28). The mean score of weight bias was 69.03 and health care was 2.41 points. There a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besity stress and BMI (r=.19, p<.05). Weight bias (r=-.19, p<.01) and health care (r=-.26, p<.01) among the subject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MI. In a multiple liner regression, obesity stress (β=.18, p<.05), health care (β=-.18, p<.05) were associated with BMI.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that obesity stress and health care influence BMI, there is a need to control stress and to properly set proper guidelines on health care for soldier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병원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직무 스트레스가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및 직무공정성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
- 자존감과 문제중심대처가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 관련직 근로자의 근로환경과 건강상태가 질병결근에 미치는 영향
-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여가만족도의 조절효과
- 비전투 지역 군인의 비만 스트레스, 체중편견 및 건강관리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200병상 이상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사의 태움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 종사 흡연 여성 근로자의 금연자기효능감과 금연준비도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이용 구직자를 대상으로 산업간호사가 제공한 건강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 임상간호사가 지각하는 업무 관련자와의 감정노동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Factors influencing Hand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면역항암제 치료 중인 암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