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분화에 대한 동향연구 : 상담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679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Self-differentiation: Based on the Major Domestic Journals in the Field of Counseling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정은정(Eun Jung Chong)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상담교육연구 제2권 제2호, 115~1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주요상담학술지에 게재된 ‘자기분화’, ‘자아분화’ 에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여 최근까지 상담 심리
학에서 연구되어온 동향을 알아보고 ‘자기분화’, ‘자아분화’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돕고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19년까지 자기분화와 자아분화를 주제로 연구한 논문 909개 중 주요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61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연구대상의 45%가 대학생이었고 사
용된 척도 열 가지 중에 제석봉(1989)이 개발한 척도가 현재까지 가장 많이(55.4%) 사용되었으며 연구주제는 인지
적 특성(33%), 정서적 특성(31%), 사회환경적 특성(28%) 세 가지가 비슷한 빈도로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제안점을 논의에서 밝혔고 제언 및 연구 방향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that have been studied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until recently by analyzing papers related to self-differentiation published in major domestic counseling journals and to provid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self-differentiation’ and direction of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lated variable groups among 909 papers studied under the theme of self-differentiation from 1991 to June 2019.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used.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45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35 percent of adults. While ten different measures are employed, the scale developed by Jae, sukbong (1989) is the most used (55.4%) to date. The thre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similar in frequency: cognitive factors(33%), emotional factors(31%),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28%). Conclusions; To find more effective intervention in counseling, I suggest more research on the mediating factors and models about self-differenti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include various subject groups such as counselors, beginner counselors, seniors, caretakers, social workers, therapists, nursing home administrators, etc.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 고찰 : 상담학 분야 주요학술지 중심으로
-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동향 분석: 국내 주요 상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역전이 개념에 대한 문헌 분석 및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 자기분화에 대한 동향연구 : 상담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동향연구 : 2010년~ 2019년 논문을 중심으로
- 정서와 정서표현에 관한 개념적 고찰
-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진로장벽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01년 ~ 2018년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