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동향연구 : 2010년~ 2019년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691
- 영문명
- Trend research fo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A review of studies published in journal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백연수(Yeon Su Baek)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상담교육연구 제2권 제2호, 44~5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 심리적 통제라는 주제로 한국 학술지 인용 색인 (Korea Citation Index: 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부모 심리적 통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총 33편의 부모 심리적 통제의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 연구 논문 수는 2010년에서 19년도 중 2017년도와 18년도에 전체 33편 중 각 7편씩 총 14편(42%)으로 연도별 논문 중 가장 많이 발행되었다. 둘째, 변인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련된 종속변인을 살펴보면 전체 36개의 변인 중 불안이 11개(31%)로 가장 높았다. 셋째, 분석 논문 중 총 33편 논문 모두 양적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은 전체 연구에서 중 학생의 비율이 전체 40편 중 15편(38%)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고등학생 11편(28%), 대학생 7편(18%), 초등학생 6편(15%)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경우 주요 도구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안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KCI (Korea Citation Index) abou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major results of a total of 33 studies 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In 2017 and 2018, a total of 14 out of 33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time period of 2010 to 2019.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s per variable, anxiety accounted for 31% of total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making
it the most frequent dependent variable. Third, amongst analytical thesis, all 33 papers were shown to have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Four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mpris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subjects with 38%, followed by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fth, measuring tools are used for the majority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nclusions: Proposal poin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upon these analytical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 고찰 : 상담학 분야 주요학술지 중심으로
-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동향 분석: 국내 주요 상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역전이 개념에 대한 문헌 분석 및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 자기분화에 대한 동향연구 : 상담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동향연구 : 2010년~ 2019년 논문을 중심으로
- 정서와 정서표현에 관한 개념적 고찰
-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진로장벽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01년 ~ 2018년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