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전이 개념에 대한 문헌 분석 및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812
- 영문명
- Literature analysis and trend analysis of countertransference : In counseling journal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 저자명
- 오숙(Sook Oh)
- 간행물 정보
- 『상담교육연구』상담교육연구 제2권 제2호, 77~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역전이는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상담자의 발달과도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상담자가 역전이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상담과정에서 잘 활용할 수 있다면 내담자의 변화에 보다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에서 역전이 개념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고, 역전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역전이 개념의 발달과정을 고전적 접근, 전체적 접근, 절충적 접근을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담과정에서 역전이 활용을 위한 주요 개념으로 투사, 투사적 동일시, 역전이 행동화, 상호생성물로서 역전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상담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역전이와 관련된 주요 주제는 상담자 특성과 상담과정과 상담성과임을 확인하였고, 역전이 관련변인으로 애착, 상담자발달, 자기애, 우울 등의 상담자 특성과 상담과정과 상담성과가 주요 변인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역전이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ountertransference not only affects the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outcomes, bu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ounselor s development. If the counselor can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untertransference and use it well in the counseling process, it can contribute more positively to the client s
chang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on the concept of reverse transition in counseling research
and analyzed the trend of reverse research. Result: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countertransference is divided into the classical approach, the overall
approach, and the eclectic approach. Conclus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major counseling academic journals, we confirmed that the main topics related to reverse transition were counselor characteristics,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outcomes. We confirmed that process and counseling outcomes were used as major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 고찰 : 상담학 분야 주요학술지 중심으로
-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동향 분석: 국내 주요 상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역전이 개념에 대한 문헌 분석 및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 자기분화에 대한 동향연구 : 상담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동향연구 : 2010년~ 2019년 논문을 중심으로
- 정서와 정서표현에 관한 개념적 고찰
-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진로장벽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01년 ~ 2018년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