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통합교과 실행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이용수 1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ign of Curriculum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Subjects Implementation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은(Ji-Eun Yi)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7권 제1호, 223~2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러티브와 백워드 설계 2.0 버전을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1학년의 대주제 ‘학교’에 해당하는 ‘학교에 가면’ 단원을 백워드 설계 2.0 버전과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그 결과, 백워드 설계 2.0 버전과 내러티브는 교과서 중심의 진도 나가기식 관행, 타당한 이해의 부재, 활동 중심 수업으로 인한 앎의 방식 습득의 어려움 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narrative and backward design 2.0 version as a way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mes to find the problems of textbook-base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ubjects.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go to school unit, which corresponds to the school theme of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using the narrative and backward design 2.0 version.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problems that can occur in existing integrated subjects implementation such as lack of understanding due to activity-based instruction and absence of awareness in the process of building knowledge due to fragmented knowledge acquisition has confirmed.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성격 및 특징
Ⅲ. 통합교과의 실행의 문제점
Ⅲ. 백워드 설계 2.0 버전과 내러티브를 적용한 통합교과 단원 설계 방안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학교육에서 내러티브 가능성 탐구
- 특수학교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신고사건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내러티브 중심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탐색
- 초학문적 융합 수업 실행 과정에 대한 교사 내러티브 탐구
- 초등학교 통합교과 실행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 NBI(narrative based instruction) 모형 개발 연구
- 대학교수의 플립드러닝 수업 운영의 내러티브: “의심에서 진심으로의 여정”
- 그림책 활용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변화
- 교사 협력을 통한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실행 경험과 언어 발달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