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교과 주생활 단원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Housing Education among Male/Femal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강분(Lee, Kang-Boon) 최목화(Choi, Mock-Wha)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6권 제2호, 59~7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of hous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nd then to present some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housing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and to analyzed the problems of housing education that was investigated on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in real life of housing area subject to male/femal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The respondents were 600 boys and girls of middle school.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Chi-square, t-test, F-test.
The major findings were follows:
1. Many students(67.2%) responded that housing of home economics was wholly helpful in the actual life.
2. Many stu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the housing education. They particularly recognized the need about the knowledge of sanitation and facilities of housing.
3. The degree to which housing education applied in the real life was lower than that to which it was needed.
4.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more students realized the usefulness of housing education, the more positively they applied it in the real life.
5. The contents that students preferred to be additionally included in housing education wer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olutions to housing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nd polution, future housing, and housing for the elder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家政科 消費者 敎育의 槪念學習 模型 適用 硏究
- 중학교 가정과 CAI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건강과 식생활 단원 -
- 일본의 가정과 교육의 변천과정 - 소 중 고교를 중심으로 -
- 男女 中學生들의 傳統 飮食에 대한 意識과 嗜好度 調査硏究 - 서울과 전주를 중심으로 -
- 가정교과 주생활 단원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가정 새 교과서, 어떻게 다룰 것인가?
- 도시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문제와 성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 성교육 실시의 타당성과 성교육 지도방향 개선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 Ma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 國民學校 六次 敎育課程의 實科 指導內容 및 指導模型 硏究
- Piaget의 인지발달론에 기초한 국민학교 실과교과 내용분석 (Ⅰ) - 만들기 영역을 중심으로 -
- 여자 중 ·고등학생의 교복착용실태 및 선호하는 교복디자인 연구 - 서울시내 여자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 중 ·고등학교 학생의 가정관리 교육 내용에 대한 학습 요구도와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