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家政科 消費者 敎育의 槪念學習 模型 適用 硏究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cept Attainment Models for Consum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李淑喜(Lee, Sook-Hyee) 尹仁卿(Yoon, In-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6권 제2호, 161~1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mong the cognitive learning models for information process, Taba s inductive thinking model and Joyce & Weil s concept attainment model, which help to obtain and study the concepts, can be applied to the ranges of consumer-education. Considering this, a new teaching-plan can be made. Applying the plan to the present teaching environments, I will do the research possibilities of applying the concept-learning teaching-plan to the consumer edcation
In the method of this research, many books, related to home economics & consumer-education, characters of concept-learning, and concept teaching-learning models, were studied. Also, on the basis of theoretical evidence, the teaching-plan, that apply the concept teaching model, were made. In addition, experimental research was done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that the plan focusing on concept learning was applied or not.
As result of this study, two points are briefly summarized :
1. The teaching plan using Taba s and Joyce & Weil s concept-attainment model was made.
2. Concept-learning in consumer-education didn t have a great influence to the changes of consumer-roles and attitudes, but had a great influence to the effects of comsumer concept-knowledge(p<0.01). The effects of consumer-knowledge had much relation to consumer-roles and attitudes. The learners whose grade is higher in attainments of consumer-knowledge, also have a high grade in consumer-roles and attitud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家政科 消費者 敎育의 槪念學習 模型 適用 硏究
- 중학교 가정과 CAI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건강과 식생활 단원 -
- 일본의 가정과 교육의 변천과정 - 소 중 고교를 중심으로 -
- 男女 中學生들의 傳統 飮食에 대한 意識과 嗜好度 調査硏究 - 서울과 전주를 중심으로 -
- 가정교과 주생활 단원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가정 새 교과서, 어떻게 다룰 것인가?
- 도시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문제와 성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 성교육 실시의 타당성과 성교육 지도방향 개선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 Ma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 國民學校 六次 敎育課程의 實科 指導內容 및 指導模型 硏究
- Piaget의 인지발달론에 기초한 국민학교 실과교과 내용분석 (Ⅰ) - 만들기 영역을 중심으로 -
- 여자 중 ·고등학생의 교복착용실태 및 선호하는 교복디자인 연구 - 서울시내 여자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 중 ·고등학교 학생의 가정관리 교육 내용에 대한 학습 요구도와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