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in Korean and American
이용수 17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전겸구(Chon Kyum Koo) 김교헌(Kim Kyo Heon) 류준범(Ryoo Joon Beom)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7권 제1호, 61~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에서 분노에 관한 기초 연구가 부족한 점에 주목하여, 분노에 관한 몇 가지 기본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한국인과 미국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 보다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적 연구로서 Averill(1982)의 분노 척도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문항을 일차적으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양적 연구로는 분노와 관련해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pielberger, 1988)와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Chon, Hahn, & Lee, 1998)를 중심으로 사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분노 척도에 한국인 160명(대학생 80명과 일반인 80명)과 미국인 160명(대학생 80명과 일반인 80명)이 각각 포함되었으며,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에는 한국 대학생 1200명과 미국 대학생 276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노 경험 차원과 관련해서는 미국인이 한국인에 비하여, 최소한 남학생에 국한해 볼 때, 상태 분노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분노 경험 차원 가운데 특성 분노와 관련해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미국인과 한국인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하여 특성 분노-특질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미국인은 한국인에 비하여 특성 분노-반응에서 높게 나타났다. (3) 한편, 분노 표현 차원과 관련해서는 미국인이 한국인에 비하여 분노-표출과 분노-통제에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4) 한국인이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하여 분노를 자주 경험하거나 표현하고 있는 데 비하여, 미국인은 친숙한 사람들에 대하여 분노를 자주 경험하거나 표현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개인주의 문화 대 집합주의 문화와 관련해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METHOD
RESULT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아의 지각 ·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日本におけるストレスマネジメント敎育の現状と效果
-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in Korean and American
- 자유화를 통한 미술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학교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아의 중재에 있어서 심리학적 서비스에 관한 연구
- 생활 · 직업전 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직업준비기능에 미치는 효과
- LCCE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인의 직업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 Lateralizing Value of the Wada Nonverbal Memory Test for Temporal Lobe Epllepsy
- 장애아 전담 보육시설 기관장의 시설운영에 대한 태도와 역할
- 韓国と日本の青少年の適応に関する心理学的研究(2) - 大邱市と那霸市の中学生と高校生を対象にして -
- 자폐증 아동의 지도에 있어서 동작법 적용의 과제와 문제
- 서술식 연산 문제를 이용한 일반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근접발달대 배교 연구
- 韓国と日本の青少年の適応に関する心理学的研究(1) - 大邱市と那霸市の中学生と高校生を対象にして -
- 기관장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 얼굴표정을 통한 학습장애 아동의 정서해석 능력과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 肢體不自由敎育師の資質及び能力に関する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