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식재산 일반’ 연구 협력학교 운영모델의 CIPP 기반 평가 사례 연구

이용수  198

영문명
CIPP-Based Evaluation Study on Operating Models for Research Schools of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박경선(Kyungsun Park) 이영희(Younghee Lee) 김아리(Ari Kim)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9권 제3호, 137~16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규 도입된 ‘지식재산 일반’ 과목을 위한 연구 협력학교의 운영모델을 CIPP 기반 평가 준거를 개발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소재의 일반고 5개교, 특목고 2개교, 특성화고 2개교 등 총 9개교 고등학교의 정규 및 비정규 과정에서 ‘지식재산 일반’ 교육내용을 적용하였다. ‘교과중점형, 융합형, 비교과활용형’ 세 가지 운영모델에 CIPP 기반 평가 준거를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과목 운영의 ‘상황-투입-과정-산출’ 단계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성과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과목 지도교사, 학생 등에 대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IPP 기반 평가 준거 영역은 상황평가 5개, 투입평가 및 산출평가 각각 6개로 개발되었고, 과정평가는 공통 6개 및 운영모델 유형별 각각 3개 평가 준거영역으로 개발되었다. 운영모델의 평가를 수행한 결과, 수업 시수를 확보할 수 있는 교과중점형 운영모델의 적용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학교 현장의 상황 및 교육 여건에 맞는 운영모델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지식재산 일반’ 과목의 원활한 도입과 정착을 위해서는 과목의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이해, 수업 시수와 교사의 확보, 교사의 내용전문성 및 수업 역량 강화, 교수·학습·평가 방법의 개발,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컨설팅 체계 구축, 원활한 학생 활동을 위한 물리적 공간 및 자원 확보 등에 대한 노력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three operating models based on the CIPP bas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odels in research schools which implemented a career elective subject in their curriculums, which is called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research,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ubject were applied in both regular and non-regular courses in nine high schools: five general high schools, two specialized, and two elit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contexts of each school, the CIPP-based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ree models: curriculum-focused, convergent, and extracurriculum-utilized. Case analysis methods were conducted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data, and students’ qualitative achievement products collected in ‘context-input-process-product evaluation stages of each model. In addition, interviews and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teachers, students, and principl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IPP-based evaluation criteria were modified into 5 evaluation categories for the Context stage, 6 for the Input, and 6 for the Output respectively. As for the Process stage, 6 comprehensive criteria and 3 individuals of each model were finalized. It turned out that the curriculum-focused model is the most optimal and likely to secure class hours of the subject. However, it is reasonable to apply models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xts in each school.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semination of the subject in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number of class hour and competent teachers, strengthen teachers’ content expertises and teaching competencies, and develop teaching·learning·evaluating methods. Moreover,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a consulting system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nd procure physical spaces and resources for student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선(Kyungsun Park),이영희(Younghee Lee),김아리(Ari Kim). (2019).‘지식재산 일반’ 연구 협력학교 운영모델의 CIPP 기반 평가 사례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9 (3), 137-165

MLA

박경선(Kyungsun Park),이영희(Younghee Lee),김아리(Ari Kim). "‘지식재산 일반’ 연구 협력학교 운영모델의 CIPP 기반 평가 사례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9.3(2019): 137-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