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기술교육에서의 디지로그 탐색
이용수 84
- 영문명
- Exploration the Digilog in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배선아(Seona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9권 제3호, 40~6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 기술교육에서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균형과 조화를 이끌어내는 디지로그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개념, 특성 등을 분석하고, 상호보완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디지로그의 개념적 틀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기술교육 영역의 성격, 목적, 내용체계를 중심으로 디지로그 요소를 추출․분석하고, 디지로그의 개념적 틀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로그의 개념적 틀은 모두 5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아날로그 감성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된 유형이 3가지로 가장 많았으며, 관계적 특성 유형과 환경적 특성 유형이 각각 1가지씩 도출되었다. 이러한 디지로그는 사회문화적 경향으로 복고트랜드, 내추럴트랜드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초등 기술교육은 성격, 목적, 내용 전반에 걸쳐 디지로그 요소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모든 내용에 디지로그 유형이 나타났다. 디지로그 유형별 빈도는 두 교육과정 모두 ③도구․수단-목적, ④개인-우리, ①정확성-가능성․다양성, ②결과-과정, ⑤가상-실제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실과 기술교육 영역의 디지로그 수업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digilog to bring about balance and harmony of digital and analog in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and analog were analyzed and the complementary elements were drawn.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ceptual frame of digilog establishing th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digital and analog was designed. And, the digilog element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s, goals and contents system of technology education area presented in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hese ele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nceptual frame of digilo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5 types of conceptual frame of digilog were drawn. Among those types, 3 type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alog sensibility were drawn and one type related to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nalog sensibility was drawn respectively. Such digilog is shown in retro trend and natural trend as a sociocultural trend.
Second, the digilog elements could be found easily from technology education area in the practical arts throughout the characters, goals and contents system of the subject. The digilog type was shown in all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area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frequency for each digilog type was shown in order of ③Tool/Means-Purpose, ④Individual-We, ①Accuracy -Possibility/Diversity, ②Result-Process, and ⑤Virtuality-Reality in both curriculums.
Lastly, the digilog lesson of technology education area in the practical arts was presented using a 3D printer from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디지로그
Ⅲ. 초등 기술교육과 디지로그
Ⅳ. 초등 기술교육에서의 디지로그 수업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