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성화고 NCS 기반 화공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인식과 직무연수 교육요구 조사
이용수 147
- 영문명
- Perception and Needs of Teachers for Job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NCS-based Chemical Engineering Curriculum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녀(Kyunyo Lee) 김소연(Soyeon Kim) 이광복(Kwangbok Yi) 김태근(Taekeun Kim) 한수경(Sukyoung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9권 제3호, 93~11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화공 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직무연수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공 NCS 기반 교육과정에 인력양성유형은 화학분석, 위험물 관리, 화학물질 취급 관리 분야, 그리고 바이오와 석유화학 분야의 기술기능인 순으로 적합하거나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화공 과목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은 강의법, 실습, 실험, 협동학습, 프로젝트학습과 문제해결학습 순으로 적합하며, 평가방법은 선택형, 서답형, 서술형, 포트폴리오와 평가자 체크리스트 순으로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에 따른 화공 교사연수의 필요성은 평균 4.36으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 연수내용은 화공 실무과목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방법, 화공 기초과목의 교수·학습방법 적용 사례와 실습, 화공 기술 및 산업체 최신 동향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화공 기초과목의 교육요구도는 2.47로 분석되었다. 실무과목은 교육요구도가 3.96으로 기초과목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희망하는 실습 주제는 화학분석, 바이오 화학제품 제조, 공정제어, 화학물질관리, 정밀 화학제품 제조 등 과목의 NCS학습모듈에 제시된 실험·실습 내용, 관련 장치(장비) 사용법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화공 분야 NCS 기반 교육과정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교사 연수는 이론적이고 형식적인 교사 연수가 아닌 학교 현장에서의 실제적 수행에 연계된 능력 및 전문성 신장을 도모하는 수요자 중심의 실천적 연수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NCS-based curriculum and job training education requirements of chemical engineering teacher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chemical engineering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ype in the NCS-based curriculum, the traditional field of chemical engineering such as chemical analysis, hazardous materials management, chemical treatment management, and technology functions in the bio and petrochemical fields were appropriate or appropriate in order.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emical engineering courses in NCS-based curriculum are appropriate in order of lecturers, practices, experiments, cooperative learning, project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And for evaluation method, it is considered that the evaluation methods are appropriate in the order of selection type, supply type, narrative type, portfolio, and evaluator checklist.
Third, the need for chemical engineering teacher training according to NCS-based curriculum was generally high at 4.36 on average. With regard to the contents of teachers’job training, they considered that current trends in chemical engineering and industry, teaching evaluation method for chemical engineering subjects, and applicable cases practice of primary subjects were needed.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basic chemical engineering subjects were analyzed as 2.47. The education requirement for practical subjects was 3.96, which was analyzed to be higher than the basic subjects. Desired lab subjects were presented in the NCS learning module for subjects such as chemical analysis, bio-chemicals products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chemical management and precision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etc., and how to use related devices (equipment).
In conclusion, teacher training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 the chemical engineering field should be demander-centered practical training operation to promote ability and professionalism connected to actual fulfillment at school, not just theoretical and formal teacher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