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헬스수업이 신체구성, 골밀도와 자가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0
- 영문명
- Effects of Healthy Education of University o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Self-Assessment of Health
- 발행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광무(Lee, Kwang-Moo)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56권 제4호, 113~1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헬스수업이 신체구성, 골밀도와 자가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교 스포츠 교양강좌인 주1회 15주간‘헬스’수업을 수강한 31명의 대학생의 신체구성, 골밀도와 자가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구성과 골밀도의 변화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자가건강평가 요소의 11가지 요소 중 음주, 흡연 기타 약물 사용관련 항목을 제외한 10가지의 요소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p<.001). 특히, 대인관계 및 업무환경, 정신건강, 체력관리와 같은 대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필요한 요소들에서 매우 유의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구성과 골밀도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1주일에 1회의 운동으로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과 같은 신체구성의 변화와 골밀도의 변화를 가져오기에는 운동시간이나 운동강도에 있어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운동의 횟수와 시간을 증가시켜 신체구성과 골밀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나아가 교양 체육수업에 있어 운동 종목의 다양성과 체계적인 운동프로그램 지도를 통해 규칙적인 운동 습관과 건강한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educational health education of university o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self-assessment of health. The subjects were 31 students at exercise health education classes per a week during 15 weeks. Whe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self-assessment of health was to investigate the average of the items, we got conclusions as follows. The students in exercise health education classes(15 weeks) had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Second, the students in exercise health education classes had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Third, the students in exercise health education classes ha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self-assessment of health in nutrition and weight control, disease prevention, sex and health, personal safety and violent accident prevention and consumer protection for health and healthy environment beside in drinking, smoking medicine using, and disease prevention.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exercise health education classes has not significant effects i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However there are changed significantly in self-assessment of health except in drinking, smoking medicine using, and disease prevention. So we need to provid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prescription to the student who t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of the university.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70년대 백제고도개발사업 추진의 배경과 결말
- 아동 문법 능력 대비 아동용 텍스트 문법 수준의 비교에 관한 사례 연구
- 대학헬스수업이 신체구성, 골밀도와 자가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와 영어의 줄임 말 유형의 비교 연구
- 어느 한 교사의 읽기 수업에 나타난 질문 양상 관찰과 해석 - 독해 전략과 수준 및 촉진 전략을 중심으로-
-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형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
- 창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사례
- 유은실 아동소설 연구 - 독자 문제를 중심으로 -
- 예비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분석
- 기하학 예비교사교육 연구 -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수업개발 및 적용
- 예비 초등교사의 불규칙 활용 인식 연구 - 공주교육대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 교육과정 문서를 통해 본 초등수학과 평가의 進化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