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와 영어의 줄임 말 유형의 비교 연구

이용수  541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mations of Shorten Words (abbreviations) in Korean and English
발행기관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저자명
우상도(Woo, Sangdo)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56권 제4호, 99~11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와 영어의 줄임 말 유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 줄임 말의 특이한 형태 중 하나는 음절초 자음만으로 줄임 말을 만드는 것이다 (ㄱㅅ = 감사, ㅇㅈ = 인정). 그러나 영어는 음절초에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도 오기 때문에 한국어의 자음축약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여러 단어로 구성된 구나 문장에서 구성하고 있는 단어의 첫 알파벳만을 결합하여 줄임 말을 만든다 (FYI = for your information, BTW = by the way, LOL = laughing out loud). 반면에 한국어에서도 구나 문장을 줄여 줄임 말을 생성하는 현상은 유사하지만 구성 방법이 영어와는 다르다. 한국어는 구성 단어의 첫 음절을 모아 줄임 말을 생성한다 (금사빠 = 금방 사랑에 빠지는 사람, 팩폭 = 팩트 폭력). 이와 같이 영어에서 첫 알파벳이나 한국어에서 첫 음절을 사용하여 줄임 말을 만드는 방법은 두 언어에서 시대상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유희적이고 창의적인 줄임 말의 생성을 가능케 하고 있다. 한국어와 영어의 줄임 말의 형성 방법과 유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두 언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두 언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different and similar patterns of formations of shorten words (abbreviations) in Korean and English. Abbreviations have been used in both languages for economical, effective, interesting, and creative communication. With the rapidly increased use of messaging, email, and SNS, abbreviations have been used more widely to use the languages more in a speedy and interesting way. One unique and new way of forming abbreviation in Korean is shortening a word or phrase by using the first consonant of the syllable(ㄱㅅ = 감사) or word (ㅅㅊ =생일축하). To shorten a phrase or a sentence in English the first alphabet of the word is used (FYI =for your information, BTW = by the way), but in Korean a syllable from the words should be chosen to shorten a phrase or a sentence (금사빠 = 금방 사랑에 빠지는 사람, 팩폭 =팩트 폭력). Also the sounds of numbers and letters have been used in shortening words to use the language more creatively and humorously. This study show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forming abbreviations in Korean and English and could be used for the learners of Korean and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어와 영어의 줄임 말 유형
V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상도(Woo, Sangdo). (2019).한국어와 영어의 줄임 말 유형의 비교 연구. 교육논총, 56 (4), 99-112

MLA

우상도(Woo, Sangdo). "한국어와 영어의 줄임 말 유형의 비교 연구." 교육논총, 56.4(2019): 9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