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 유형 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for the Married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서리나(Seo Leena) 오치옥(Oh Chiok)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7권 제3호, 83~10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노동자의 여가참여를 통한 일·삶 균형을 위해 조직의 여가지원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충족하는 두 가지 조건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주요 영향요인을 밝혔다. 그런 다음, 일-여가-가정 간 균형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가족친화조직 30~40대 기혼노동자 320명이며, 설문조사 자료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은 일로 인한 여가시간압박(WL시간압박)과 여가만족 수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지각하는 유형4를 기준으로 할 때 유형1의 주요 영향요인은 주당 노동시간이고, 유형2와 유형3은 주말 희망-실제 여가시간 차이와 여가지속성으로 밝혀졌다. 셋째, 네 유형은 일-여가 촉진과 일-여가 균형만족과 정적 관련성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 인식은 낮은 WL여가시간압박 조건과 높은 여가만족 조건의 충족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 지원은 주관적 시간웰빙의 두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인차원을 넘어 사회적 관심과 조직단위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isure support for the married worker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of each type was investigated. Also, a balanc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family using the types was tes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0 married workers in their 30s~40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consisted of four types according to work-to-leisure time pressure and leisure satisfaction level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ypes were working week,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and actual weekend leisure time, and leisure continuity. Also,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group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leisure facilitation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In conclusion, workers are aware of their self-perceived temporal well-be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ork in lower time pressure and feel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n leisure activities. That means the leisure support policy for workers should support by organizational unit beyond individual and family leve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