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ransforming the Fitness Center Business Model: A Service-Profit Chain Approach
이용수 4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이성용(Sunny Yi) Timothy Connerton 박정열(Cheongyeul Park)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7권 제3호, 23~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ith the surging need for indoor leisure activities for Koreans due to deteriorating air condition and weather, the competitions among various business segments in the fitness industry have also grown, facing a considerable challenge for survival. Many fitness centers suffer from bad quality of service, transient and poorly trained workforce, and damaging reputation; thus, deteriorating sustainability in the long run. While a few fitness center operators offer differentiated products and services, unique marketing programs, and deeply discounted pricing scheme in order to acquire new customers and retain existing customers, the business model of the fitness industry needs a thorough evaluation to test its validity and profitability. By using a case study, this research examines how one fitness chain company in Korea is differentiating itself and transforming the industry dynamics. Using interviews as primary research source, this paper incorporates the service-profit chain framework to examin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the fitness industry, identify differentiating service delivery factors, and explore further opportunities to establish as a sustainable business model. Finally, this study derives implications from employee and customer loyalty construct to reshape the future fitness industry.
목차
Ⅰ.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Theory and Practice
III. Methods
IV. Results and Discussion
V.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