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 시대 테크놀로지에 대한 초등교사의 TPACK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0

영문명
A Study on the TPACK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Newly Introduced Technology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문은경(Moon Eunkyung) 김혜영(Kim Hyeyeong) 신원석(Shin Won Sug)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1권 제2호, 277~30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초등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 가지 테크놀로지(증강/가상현실, 로보틱스, 온라인 학습)에 대해 TPACK 개념을 토대로 IPA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들의 인식을 하고, 교사 개인 배경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초등교사들의 증강/가상현실, 로보틱스, 온라인 학습에 대한 TPACK 인식과 준비수준은 온라인 학습, 증강/가상현실, 로보틱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IPA 방법을 활용하여 세 가지 테크놀로지별 TPACK 영역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증강/가상현실은 TPK, 로보틱스는 TCK, 온라인 학습은 TPK가 집중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영역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성별에 따라서는 남녀 교사 모두 온라인 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전반적으로 남자 교사의 이해도․준비도 수준이 여자 교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온라인 학습과 로보틱스에 대한 이해도는 경력과 무관하였으나, 준비도는 교직 경력과 비례하고 있었다. 반면, 증강/가상현실은 교직 경력이 높을수록 오히려 이해도와 준비도 수준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초등교육 현장에서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 교육적 활용 우수 사례 제공 등의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PACK concept using IPA method for three newly introduced technologies (augmented/virtual reality, robotics, online education) which are expected to be used in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ose technology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Both TPACK recognition and preparation level of augmented/virtual reality, robotics, and onlin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higher in order of online education, augmented/virtual reality, and robotics.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TPACK domain by three technologies using IPA method, robotics should be developed intensively in the TCK domain, and online education and augmented/ virtual reality should be intensively developed in the TPK domain. According to the gender and year of experiences of teachers,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understanding and preparedness on online education. Overall, male teachers’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preparedness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In addition, year of teaching experiences does not impact on the understanding of online education and robotics in education. However, the preparedness of using technology was proportional to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preparedness is lower in the augmented / virtual reality as the teaching experiences is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quired to support in the area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professional development such as best practices so that teachers can utilize the technology and enhance TPACK level for the meaningful use of newly introduced technolog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은경(Moon Eunkyung),김혜영(Kim Hyeyeong),신원석(Shin Won Sug). (2019).4차 산업혁명 시대 테크놀로지에 대한 초등교사의 TPACK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1 (2), 277-303

MLA

문은경(Moon Eunkyung),김혜영(Kim Hyeyeong),신원석(Shin Won Sug). "4차 산업혁명 시대 테크놀로지에 대한 초등교사의 TPACK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1.2(2019): 277-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