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
이용수 8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Career Reading Program for Free-semester System in Library
- 발행기관
-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황금숙(Gum-Sook Hoang) 김수경(Soo Kyoung Kim) 김미선(Mi Sun Kim) 이수영(Soo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독서교육학회지』제4권 제1호, 5~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되는 자유학기제를 위해 도서관은 시설 및 장서, 인력,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맞도록 학생들에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창의적이고 자율 학습의 기반이 되는 메타 인지능력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기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을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과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시범 운영을 통해 사전/사후 효과성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서는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는 진로지식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 introduced a free semester in 2013, current targets middle as a core policy for nurturing creative talent, the year 2016 has been carried out in front of all middle school.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library-based career reading program for free semester. In this study, It arrived at a conclusion to b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preliminary/post inspection about career reading program.
목차
1. 서론
2. 자유학기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 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 개발
4. 진로 독서프로그램 효과성 및 만족도 분석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