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고전 읽기코칭이 독서습관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57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Humanities Classical Book Reading Coaching on Reading Habit Improvement
- 발행기관
-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송지애(Jiae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독서교육학회지』제4권 제1호, 53~8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인문고전 읽기코칭 활동이 독서의 즐거움과 독서습관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4개 반을 대상으로 사전 선호도조사를 통해 선정된 인문고전으로 읽기코칭 독서교육을 실시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문고전 읽기코칭 독서교육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독서습관 형성에 일정부분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독서의 즐거움에도 긍정적인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umanities classical book reading coaching on pleasure in reading and reading habit formation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have carried out reading education based on reading learning coaching to students with selected classical books through result of prior preference survey targeting students of four classes in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then we have applied to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at the humanities classic book reading coaching could be partially helpful in forming a reading habit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