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 도서관 이용자 교육과 향상 계획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5
- 영문명
- Analysis on User Education System of Junior College Library and Improvement Plan
- 발행기관
-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오슬기(Seul-Gi Oh) 조현진(Hyun-Jin Jo) 한유진(Yu-Jin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독서교육학회지』제4권 제1호, 99~1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식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도서관의 역할과 중요성은 점점 확대되었고 정보수요가 달라지면서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종류와 질도 달라졌으며, 이용자교육도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많은 이용자 교육에 대한 연구는 4년제 대학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였고,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전문대학 도서관 이용자교육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활성화 방안 도출과 이를 기반으로 대림대학 수암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모델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ppearance of knowledge based society of information led to the expended role and importance of library. As the demand for information has changed, the kinds of information provided by library has been changed with the progression in quality. The library user education has developed with this upward trend. The researches on library us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system, however, has focused on the users of 4-year university libraries. In this study, present conditions of junior college libraries in the capital areas have been examined to draw unique characteristics of junior college library users. The study ultimately suggests a specialized library user education model for Suam library in Daelim university college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