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캠프 참여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 제주해변과학캠프를 중심으로 -
이용수 10
- 영문명
- Analysis on Scientific Attitude and Awareness toward Science of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ience Camp - In focus of Jeju Beach Science Camp -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창건(Kim Chang-gun) 고용철(Ko Young-chul) 강동식(Kang Dong-shik)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12권 제1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해변과학캠프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과학캠프 참여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그램 분석은 HASA(Hands ․ Head ․ heart At Science Activity)교육과정 기준안에 근거해 이루어졌다. 제주해변과학캠프 프로그램 분석 결과 탐구 영역은 많은 기본탐구과정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지식 영역은 개념 학습에 적합한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결과 과학캠프 참가학생들은 과학탐구 태도와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 영역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이들은 과학캠프 참여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과학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eju beach science camp program and to survey scientific attitude and awareness toward science of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ience camp. Also the camp progra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andard for the HASA curriculum.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Jeju beach science camp program, the inquiry area included many basic process skills. In addition, it was indicated that the knowledge area included many activities appropriate for concept learning. According to questionnaire survey, the participating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in attitude to scientific inquiry and leisure interest in science . Also they indicated affirmative attitude in participating science camp. The results of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for the science camp program as the basic materia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제주해변과학캠프 구성과 운영
Ⅲ. 연구 방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 인식 조사
-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2009 교육과정에서 컴퓨터교육의 적용
- 과학캠프 참여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 제주해변과학캠프를 중심으로 -
- 제 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비교분석
- 고등학교 수학익힘책의 활용 실태 분석
- 음악교육에서 디지털 사운드의 활용 방안
- 초등학교 육상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수학익힘책 활용에 대한 실태와 발전 방안
- 영어의 의성/의태어에 대한 음성상징 연구
- DBAE이론에 기초한 초등교사의 한국화 실기능력 신장 방안
- 황윤석의 『산학입문』과 학교수학에의 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