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 대퇴골 골전환자의 수술 후 기간별 일상생활기능 회복에 대한 종단적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covery of Daily Living Activit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in Postoperative Elderly Patients with Femur Fracture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오장(Oh-Jang Park) 장현숙(Hyun-Sook Jang)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8권 제1호, 151~16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ny elderly patients with a femur fracture could not fully recover their previous level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longitudinaly the fun ctional recovery of daily living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inf luencing factors on it in the postoperative elderly patients with
fractured hip.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31 patients over 60 years old who received surgery for femur fractur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 st, 2000 to Mar. 31 st, 200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by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ADL recovery at the time of discharge from the hospital was - 46.8 point, recovery rate was 49.6%. The ADL recovery of 3 months after discharge was - 34.1 point and 66.8%, 9 f!1onth after was -10.6 point and 88.6%.
2. The factors on the recovery of 9 month after discharge were sex (t = 2.52, p = .02), associated disease (t = 4.54, p = .04), and using a dining table (t = 2.24, p = .04). Female was lower than male in the recovery of house working, the patients who had another diseas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in the recovery of total ADL, the group of not using a dining table was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s in the recovery of pain.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 중소도시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성과 연구
- 노인 대퇴골 골전환자의 수술 후 기간별 일상생활기능 회복에 대한 종단적 연구
-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 만족도 관계연구
- 응급 환자의 심부체온 측정시 고막체온과 액와체온의 비교
- 물질남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물질에 대한 지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 양호교사에 의한 구강보건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구강보건 지식 및 행위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들의 태도에 미치는 장애인 교육프로그램 효과
- 혈액종양 환자의 자가간호지식, 가족지지, 자가간호행위와의 관계
- Fawcett의 C-T-E 구조에 의한 일 간호연구논문의 분석과 평가
- 사회극을 이용한 AIDS교육이 AIDS관련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