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fe Stress, Social S叩port and Health Problem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강순화(Soon-Hwa Kang) 최순희(Soon-Hee Choi)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8권 제1호, 69~8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related factors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blems, and the relations of these vari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study were 346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s 4, 5, and 6, from one school in K city, and from three schools of the district of C.
The data were gathered from september 2 to 18, 2002 by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use of, t-test, ANOVA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life stress was 107.0 with the range from 12 to 200,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grades(t=5.98, p=.003) , financial status(F=3.07, p=.048) and sc•1001 records(F=7.01 , p=.001). In comparislon of each mean score of stress-related items, ‘parents urge the students to study(3.06) ’ tended to show the highest degree. In comparislon of each mean score of stress areas, ‘parents (2.80)’and ‘school records(2.80)’ares tended to show higher degrees.
2.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was 83.3 with the range from 27 to 119,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t=-2.49, p =.013) , parents educational level (F=3.53 , p=.030) , financial status(F= 10.57, p=.0001), family atmosphere (F =43.1 , p=.0001), school records(F =12 .4, p=.0001) , and number of afterschool activities (F=3.83, p=.023). Each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areas tended to higher degree in order of family support(3.99), friend support(3.34) and teacher support(3.16) .
3. The mean score of health problems was 44.8 with the range from 30 to 102,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financial status(F=5.25, p=006), family atmosphere(F=4.04, p=.0l 9), and concern about health.(F=17.0, p=.0001). In comparision of health problem items, each mean score tended to show higher degrees in order of ‘can’nt fall asleep(1.88)’ ‘ headaches(1.82)’ ‘ make mistakes in the presence of people(1.77)’ and ‘worry about things( 1.77)’
4. Life stress scor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 .135,p= .012) with health problem scores, but a inverse correlation(r=-2.51 , p=.0001) with social support scores and social support scores showed a inverse correlation(r=- 3.18, p=.0001) with health problem scores.
목차
Ⅰ.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 중소도시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성과 연구
- 노인 대퇴골 골전환자의 수술 후 기간별 일상생활기능 회복에 대한 종단적 연구
-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 만족도 관계연구
- 응급 환자의 심부체온 측정시 고막체온과 액와체온의 비교
- 물질남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물질에 대한 지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 양호교사에 의한 구강보건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구강보건 지식 및 행위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들의 태도에 미치는 장애인 교육프로그램 효과
- 혈액종양 환자의 자가간호지식, 가족지지, 자가간호행위와의 관계
- Fawcett의 C-T-E 구조에 의한 일 간호연구논문의 분석과 평가
- 사회극을 이용한 AIDS교육이 AIDS관련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