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관절 가동범위 운동의 효과
이용수 144
- 영문명
- Effect of Range of Motion Exercises for the Health Promotion Among Older Adul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강기선(Ki-Seon Kang) 박인혜(In-Hyae Park)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7권 제1호, 105~11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ange of motion exercises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health promotion among older adults. The study was performed on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or 80 older adults, who were conveniently sampled.
The older adults were participated in a range of motion exercise program, which were held 3 times in a day for 4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5 to July 28, 2002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s of questions regarding perceived health status,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older adult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a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program,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he exercise(t=8.265, p= .000).
2. After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program,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he exercise(t=21.185, p= .000).
3. After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program, the emotional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he exercise(t=7.284, p= .000).
4.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older adults(r= .403, p= .000; r= .391 , p= .000).
After 4 weeks of range of motion exercises it was shown that the range of motlon exercise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older adults.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could practice safely in any place without any special facilities, so we recommend it as one of exercise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of older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awcett의 C-T-E 구조에 의한 일 간호연구논문 분석
- 간호학에서 문화 기술지의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건강상태
- 중환자실에 입원한 개심술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관절 가동범위 운동의 효과
- 정신지체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이 경험하는 월경불편감 정도와 대처방안
- 일 도시 만성정신질환자의 욕구조사 연구
- 지지간호가 혈액투석 환자의 희망에 미치는 효과
- 간호사에서 피부염의 발생현황과 상용되는 수종의 약물과 소독제에 의한 Allergy 반응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