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건강상태
이용수 42
- 영문명
- The Health State and Stress Level of the Family Caregiver of Chemotherapy Patien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미영(Mi-Young Kim) 홍미순(Mi-Soon Hong)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7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ress degree and health state in family of caregiver of chemotherapy patients.
This subjects have been studied by researching 100 families caregiver who weretaking care of chemotherapy patients at admitted hospital in Gwangju city.
The research tools are a Gwang-hee Yang(1 998)’s stress questionnaire(4 point scale) and health questionnaire(4 point scale) developed by Dong-he Kim(1998).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direct interview with questionnaire in Gwangju city, the Republic of Korea from 15th February to 15th March 2001.
The data i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cheffe’ test using SPSS/PC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mean score of the stress level is 2.20 and the health state was 1.54 (Maximum : 4).
2. The stress level of family caregiver i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F=4.69, p=.002), gender(t=10.76, p=.001), degree of care(F=4.55, p=.013), availableness of 2’nd caregiver(t=5.66, p=.019).
3. The health state of family of caregiver i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t=14.39, p=.000), the level of education (F=3.33, p=.023), monthly income of family(F=2.62, p=.039), the responsibility for living cost(F=3.30, p=.041).
4.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the health state (r=.617, p=.000).
Investigating above results,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tress level and the health state of family caregiver of chemotherapy patients. And the stress level and health state ar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 50 There is a need to access nursing family caregiver according to thos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용어의 정의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 의
Ⅶ.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awcett의 C-T-E 구조에 의한 일 간호연구논문 분석
- 간호학에서 문화 기술지의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건강상태
- 중환자실에 입원한 개심술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관절 가동범위 운동의 효과
- 정신지체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이 경험하는 월경불편감 정도와 대처방안
- 일 도시 만성정신질환자의 욕구조사 연구
- 지지간호가 혈액투석 환자의 희망에 미치는 효과
- 간호사에서 피부염의 발생현황과 상용되는 수종의 약물과 소독제에 의한 Allergy 반응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