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高校展示资源初探 - 以中国高校博物馆为视角
이용수 30
- 영문명
- Study on University Exhibition Resources -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University Museums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刘 阳 (류양)(Liu Yang)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35호, 307~31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高校展示资源”是高校内一切可用以向人们展示的物质要素的总称。高校的展示资源体现了高校的办学特色和办学实力,是大学文化的物化表达,在素质教育和对外宣传中发挥着不可替代的作用。本文在对高校展示资源进行系统分类的基础之上,以高校博物馆为视角,讨论高校博物馆整合校内展示资源的必要性,分析两种整合模式各自的特点,并就相关问题提出了自己的看法。
영문 초록
“University Exhibition Resources” is a general term for all the material elements that can be displayed in universities. The exhibition resources of universiti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unning a university and the strength of running a university.
It is a materialized expression of university culture and plays an irreplaceable role in quality education and publicity. Based on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university exhibition resources,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exhibition resources at universitie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integration modes, and put forward views on related issu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校展示资源初探 - 以中国高校博物馆为视角
- 대중 소통 매체로서 기업박물관 활동에 관한 연구 - 루이뷔통재단을 중심으로 -
- 근대기 국왕 초상의 이미지 내러티브 형성 - 스미스소니언 앨리스 루즈벨트 컬렉션, 고종 초상사진을 중심으로 -
- 박물관 5대 법률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
- 초연결성의 박물관(Hyper-connected Museum): 테크놀로지 기반의 해외 박물관 서비스 혁신 사례 고찰
- 불교문화재의 맥락 회복적 전시방법에 대한 고찰
- 화석정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 역사적 고증과 복원문제를 중심으로 -
-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과 성과분석, 미래의 과제
- <權大運耆老宴會圖>를 통해 본 南人의 復興과 衰落 - 서울대학교 소장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의 비교를 바탕으로 -
- 지역개발 전략으로서 박물관 클러스터 - 비엔나 박물관지구 사례연구
- 중등 국어과 교육 내용과 국립한글박물관 상설 전시의 상호연관성 연구
-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탐색 - 국립민속박물관 청소년 교육의 설계 모형 개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