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과 성과분석, 미래의 과제
이용수 244
- 영문명
- A Study on the Foundation of Korean Society of Museum Studies, Performance Analysis and Future Challenges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최종호(Choe Jong-ho)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35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 경과와 학술활동 중점 목표, 한국박물관협회와 협력 성과, 한국박물관학회 20년간 학술활동 성과와 게재 논문․설림 분석, 박물관학보의 KCI 등재와 박물관학․전통문화유산 학술논문 공모, 한국박물관학회의 당면과제와 지속가능한 박물관학회 활동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박물관학회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과 학예사 자격제도 시행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전국 박물관인대회와 박물관학 학술대회를 공동주최․주관하였고, 2004 서울세계박물관대회 국제박물관학위원회 심포지엄을 공동주최․주관하였고, 매년 한국박물관국제학술대회를 박물관협회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왔다.
또한 한국박물관 100년 기념사업과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사업에 참가하였고, 박물관 전문인력 국제교류 활동에 참가하여 박물관 제도 개선과 학예활동 진흥, 학예인력 양성 등에 이바지하여 왔고, 박물관학 도서 출판과『박물관학보』발간 등을 통하여 박물관 종사자들과 박물관학 전문가들에게 전문지식과 실무경험,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공유하여 활용하는데 앞장서 왔다.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 분야에서 민관산학연단이 함께 지혜를 모으고 공동의 목표를 향해서 해야 할 과업 중에 하나가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박물관학 표준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세계적 수준에서 박물관 사업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하면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Korean Society of Museum Studies(KSOMS) and the main target of academic activities, the achievement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KAM) and the KSOMS, the achievement and analysis of articles and bulletins printed of the KSOMS’s 20 years, the registration of citation index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KCI), the Academic Articles Contest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Studies and Museum Studies, the current assignments of the KSOMS, and sustainable activities of the KSOMS.
The KSOMS suggested the proposal for execution of the amendment of the Museum and Art Museum Promotion Law and the Qualification Certification of Curatorship, co-organized the Korea Assembly of Museum Professionals and the Conference of Museum Studies, co-hosted and organized the ICOFOM Symposium of the Seoul ICOM General Conference 2004, and the KMA and the KSOMS have organize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MA every year.
In addition, the KSOMS participated in the centennial anniversary project of the Korea Museum’s establishment,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Korea Museum s opening, has contributed in the amendment of museum instruments and the promotion of academic activities and the education of curatorial staffs, and has leaded to supply, share and utilize the expertise, practical experience, knowhow, etc. through the publication of books on museum studies and the publication of Bakmulgwanhakbo as Journal of Museum Studies to museum worke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museology and museography, the KSOMS needs to gather the wisdom with citizens, governments, industries, schools, institutes, and groups, to develop standard curriculum for museology to educate the museum professionals as one of the tasks that needs to be done toward a common goal and needs to be used while presenting and complying with standards to enable museum projects and activities to be carried out at the global level.
목차
1.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 경과와 학술활동 중점 목표 사업
2. 2002년 이전 한국박물관학회와 한국박물관협회의 협력 성과
3. 한국박물관학회 20년간 학술활동 성과와 게재 논문․설림 분석
4. 박물관학보의 KCI 등재와 전통문화유산․박물관학 학술논문 공모
5. 한국박물관학회의 당면과제와 지속가능한 박물관학회 활동 모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校展示资源初探 - 以中国高校博物馆为视角
- 대중 소통 매체로서 기업박물관 활동에 관한 연구 - 루이뷔통재단을 중심으로 -
- 근대기 국왕 초상의 이미지 내러티브 형성 - 스미스소니언 앨리스 루즈벨트 컬렉션, 고종 초상사진을 중심으로 -
- 박물관 5대 법률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
- 초연결성의 박물관(Hyper-connected Museum): 테크놀로지 기반의 해외 박물관 서비스 혁신 사례 고찰
- 불교문화재의 맥락 회복적 전시방법에 대한 고찰
- 화석정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 역사적 고증과 복원문제를 중심으로 -
-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과 성과분석, 미래의 과제
- <權大運耆老宴會圖>를 통해 본 南人의 復興과 衰落 - 서울대학교 소장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의 비교를 바탕으로 -
- 지역개발 전략으로서 박물관 클러스터 - 비엔나 박물관지구 사례연구
- 중등 국어과 교육 내용과 국립한글박물관 상설 전시의 상호연관성 연구
-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탐색 - 국립민속박물관 청소년 교육의 설계 모형 개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