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국어과 교육 내용과 국립한글박물관 상설 전시의 상호연관성 연구
이용수 246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Permanent Exhibition of National Hangeul Museum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이철기(Lee Cheol-gi)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35호, 199~22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과 한글문화의 가치를 보존․확산․재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2014년 10월 9일에 개관하였다. 한글박물관에 기대되는 다양한 기능 중 하나는 한글과 한글문화에 관한 교육적 기능이며 실제로 한글박물관은 교육 대상을 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성인, 외국인으로 나누어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삼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어서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참여자 중에 중고등학생 참여자는 약 10%에 그친다.
이 연구는 중고등학생 관람객이 학교에서 교과서를 통해 평면적으로 익힌 한글에 관한 지식을 한글 박물관에서 입체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관점에서 한글박물관 상설 전시 ≪한글이 걸어온 길≫의 내용과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한글 관련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상호연관성을 논증한 연구이다. 이 과정에서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중에 상설 전시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내용을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다섯 가지 범주(① 한글의 창제 원리와 관련된 내용, ② 국어의 통시적 변천과 관련된 내용, ③ 국어의 공시적 변이와 관련된 내용, ④ 국어의 규범성과 관련된 내용, ⑤ 국어에 대한 태도 형성과 관련된 내용)로 가려내고, 각 범주와 관련된 상설 전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이는 한글박물관의 상설 전시에 대한 교육적 재해석의 과정이자 훗날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나 해설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데 요구되는 기초적 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이를 토대로 중고등학생 대상의 한글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National Hangeul Museum was opened on October 9, 2014 to proclaim values of Hangeul-The Korean alphabet was created by King Sejong in 1443. Through Its the permanent exhibition-The Journey that Hangeul Went Through-that explores the history, present and future of Hangeul, National Hangeul Museum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visitor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Hangeul I think that the greater part of the permanent exhibition is related to the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National Hangeul Museum can be used for an educational space to help student visitors understand Hangeul.
In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I analyzed the permanent exhibition of National Hangeul Museum and the contents of Korean Grammar Curriculum. In the second half, I showed the strong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ermanent exhibition and the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In the last part, I introduced specific collections and contents of the permanent Exhibition that can be used for an educational resourc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국립한글박물관의 교육적 기능과 한계
Ⅲ. 해외 박물관 교육의 사례와 함의
Ⅳ. 상설 전시와 국어과 중등 교육과정의 분석
Ⅴ. 국어과 교육 내용과 상설 전시의 상호연관성 분석
Ⅵ.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校展示资源初探 - 以中国高校博物馆为视角
- 대중 소통 매체로서 기업박물관 활동에 관한 연구 - 루이뷔통재단을 중심으로 -
- 근대기 국왕 초상의 이미지 내러티브 형성 - 스미스소니언 앨리스 루즈벨트 컬렉션, 고종 초상사진을 중심으로 -
- 박물관 5대 법률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
- 초연결성의 박물관(Hyper-connected Museum): 테크놀로지 기반의 해외 박물관 서비스 혁신 사례 고찰
- 불교문화재의 맥락 회복적 전시방법에 대한 고찰
- 화석정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 역사적 고증과 복원문제를 중심으로 -
-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과 성과분석, 미래의 과제
- <權大運耆老宴會圖>를 통해 본 南人의 復興과 衰落 - 서울대학교 소장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의 비교를 바탕으로 -
- 지역개발 전략으로서 박물관 클러스터 - 비엔나 박물관지구 사례연구
- 중등 국어과 교육 내용과 국립한글박물관 상설 전시의 상호연관성 연구
-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탐색 - 국립민속박물관 청소년 교육의 설계 모형 개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