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탐색 - 국립민속박물관 청소년 교육의 설계 모형 개발 -
이용수 490
- 영문명
- The Analysis of Museum Education Trends based on Educational Policy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최명림(Choi Myung Lim)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35호, 63~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된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박물관 교육에서의 모형 개발을 통해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지속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진행했던 청소년 교육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유학기제에서 추구하는 창의적 융합인재상 개발 방향과 연계하여 박물관에서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라 학교와 박물관이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 정책에 따른 학교 교육과 연계한 박물관 교육의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박물관만의 특별한 교육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수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박물관에서 지원해 줄 수 있는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박물관에서의 교육을 모듈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교육 요소, 교육 주제와 목표, 교육 활동, 교육 내용, 교육 평가 등 5가지의 교육모형의 설계 원리와 5가지의 수업 설계 단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박물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 교육, 문화체험 교육, 자율교육들이 어떤 형태로 만들어 지고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해서 교육 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모듈화 함으로써 자유학기제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하나이면서 자유학기제 연계 교육 제공처인 공공기관(박물관 등)에서 교육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olescence education and ‘the free semester system’ education policy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2013 and to examine the trends of museum education through developing a model of museum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ases of National Folk Museum from 2016 to 2017 when the free semester system policy was fully implemented.
It is necessary for the museum to provide education programmes through reconstructing contents in accordance with free semester so that schools can systematically interact with museum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model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policy will lead to the operation of systematic and consisten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modularize museum education which can represent local community through developing a design model which museums can suppor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is study suggests five elements of education model design: goal, theme, contents, activities, and evaluation. It analyzes the operation of museum education programmes such as career search activity and topic selection activity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reinforcing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museums) as a part of local community.
목차
Ⅰ. 서론: 자유학기제의 시작
Ⅱ. 사례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 연계 박물관 교육
Ⅲ.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박물관 교육 설계 모형
Ⅳ. 결론: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지속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校展示资源初探 - 以中国高校博物馆为视角
- 대중 소통 매체로서 기업박물관 활동에 관한 연구 - 루이뷔통재단을 중심으로 -
- 근대기 국왕 초상의 이미지 내러티브 형성 - 스미스소니언 앨리스 루즈벨트 컬렉션, 고종 초상사진을 중심으로 -
- 박물관 5대 법률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
- 초연결성의 박물관(Hyper-connected Museum): 테크놀로지 기반의 해외 박물관 서비스 혁신 사례 고찰
- 불교문화재의 맥락 회복적 전시방법에 대한 고찰
- 화석정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 역사적 고증과 복원문제를 중심으로 -
- 한국박물관학회의 창립과 성과분석, 미래의 과제
- <權大運耆老宴會圖>를 통해 본 南人의 復興과 衰落 - 서울대학교 소장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의 비교를 바탕으로 -
- 지역개발 전략으로서 박물관 클러스터 - 비엔나 박물관지구 사례연구
- 중등 국어과 교육 내용과 국립한글박물관 상설 전시의 상호연관성 연구
- 자유학기제 교육 정책에 따른 박물관 교육의 변화와 탐색 - 국립민속박물관 청소년 교육의 설계 모형 개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