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이용수 78
- 영문명
- Investigating Conceptual Framework on Team-Based Learning for Improving Learning Process and Performance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조형정(Cho Hyung-jung) 이영민(Lee Young-min)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6권 제2호, 27~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수자가 팀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유도한다고 모두 효과적인 교수활동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교수자는 교수자의 팀 활동에 대한 구조화된 교수 설계와 구체적인 교수 과정에 대한 계획을 통해서 만이 의도한 교수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평가의 경우, 팀 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공통된 팀 성취는 평가 상의 불공평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학습자의 동기를 저하시켜 팀학습에 대한 반감과 성취 저하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팀 단위의 교수·학습 전략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측면을 보완할 대안적 방법이 필요하다. 팀 기반 학습은 동료 학습자들과 지식과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집단활동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팀 기반학습에 대한 효과성과 그 한계점에 대한 탐색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기반 학습이 그러한 대안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 가능한 지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팀 기반 학습의 효과성과 그 한계를 탐색하고 대안적인 팀 기반 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eam-Based Learning is a relatively new educational approach in which learning occurs in three phases. Team-Based Learning is so named because in the second and final phase (e.g., team test, written appeals from team, small group assignment etc.), students are organized into teams to participate in a classroom Team-Based Learning session. Team-Based Learning is rapidly gaining acceptance among educators because it allows learners to focus on understanding how to apply concepts and theories, as opposed to just learning about them. Team participation encourages ownership, responsibility, and motivation. Furthermore, this approach provides team members the opportunity to evaluate each others contributions. But Team-Based Learning s effectiveness in the field of education has not yet been studied in great detail. More time and data gathering is needed to fully assess the impact of this system on resident education. For the first approach of this strategy, We referred theoretical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Team-Based Learning and limits of existing team learning and mentioned Team-Based Learning as its complement
목차
Ⅰ. 서론
Ⅱ. 팀 기반 학습의 개념과 원리
Ⅲ. 팀 기반 학습의 구성 요소 및 절차
Ⅳ. 팀 기반 학습의 한계와 보완점
Ⅴ.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