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곰의 상징적 의미
이용수 541
- 영문명
- The Symbol of Bear
- 발행기관
-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김혜선(Kim, Hye sun)
- 간행물 정보
- 『모래놀이상담연구』모래놀이상담연구 제14권 제1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곰은 한국인의 생활과 관념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등장하고 있다. 단군신화에 처음 등장하는 동물로 곰은 단군신화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였다. 또한 곰은 민간의식이나 설화, 신화의 형태로서 촌재할 뿐만 아니라 고구려시대의 고분 벽화와 같은 유물에서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문화에서의 신화 및 설화, 민담에서 곰의 상징을 중점적으로 고찰 해보고 일본, 중국 등 신화에 등장하는 곰에 대한 상징은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는가를 규명하고자한다. 한국인의 생활과 관념 속에 곰은 몸집에 비해 조그마한 눈에 얼핏 보기에 느릿한 행동을 하고, 덩치는 크지만 성질이 온순한 편이라 맹수라기보다 친근한 동물 중 하나이다. 곰은 한국 사회문화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각국에서도 신화와 민담을 통해 다양한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 사회 문화에서 우리 민족의 창조 신화로서 곰은 신성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모신적 존재로서의 신성성을 나타내며 우리 민족의 시조라고 여겨지는 단군의 어머니로서 여성 원형을 나타낸다. 곰은 삼칠일 만에 여인(熊女)으로 변화하여 여신으로 숭상되는 인내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 중국 소수민족의 기원신화와 일본의 곰제례에서도 곰이 등장하여 신성을 상징하고 있다.
영문 초록
Bears are deeply embedded in the lives and ideas of Koreans, and they are emerging in all aspects of Korean culture. The bear was the first animal to appear in Dangun Myth. It formed the main skeleton of Dangun myth. The bears were found not only in the form of folk customs, fables, myths, but also in relics such as tomb murals in the Goguryeo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symbol of bear in myths, narratives and folk tales in Korean society culture, and explores how the symbols of bear appearing in myths such as Japan and China are projected. In the life and idea of Koreans, bears behave at a glance with a small eye, compared to their size, and they are big, but their temperament is gentle. Bear has various symbolism not only in Korean society culture but also in
various countries through myths and folk tales. Specifically, bea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acredness as a creation myth of Korean people in Korean society culture. It represents a female prototype as a mother of Dangun, which is regarded as a mother tongue of our nation, representing sacredness as a mosquito. The bear changes into a lady in three days and symbolizes patience as a goddess. In the myths of Chinese ethnic minorities and bear ceremonies in Japan, bears are symbolizing the divinity.
목차
1. 서론
2. 본론
3. 모래상자에 나타난 곰의 상징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