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 복합 형태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연구
이용수 131
- 영문명
- A Study on Two Complex Forms ‘~edaehae(seo)’, ‘~e daehan’ in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임진숙(Lim Jin-Suk)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55권, 245~27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모어 화자의 사용 빈도가 높고 한국어 학습에서 필수적인 항목으로 제시되는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제시 방법과 의미, 용법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 방법을 고안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와 문법서를 분석하였는데 ‘에 대해(서)’의 형태적 제시가 통일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형형 ‘에 대한’은 ‘에 대해(서)’의 제시 후에 추가적 설명으로 제시되어 문법적 설명 제시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다음으로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에 대해(서)’, ‘에 대한’의 문장을 추출하여 선행부와 후행부를 나누어 분석하고 호응관계를 살펴보았다. 선행부에는 직접적 대상이 되는 구체적 내용과 전체적인 화제 내용이 되는 포괄적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후행부는 심리표현, 언어표현, 사고표현으로 나누어 제시할 수 있으며 선행부에 나타난 표현과 공기할 수 있는 표현을 확인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언하여 ‘에 대해(서)’, ‘에 대한’의 교육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presentation methods, meanings, and uses of ‘~e daehae(seo)’, ‘~e daehan,’ which record such high frequency of usage among native speakers that they are provided as essential items in Korean study, and propose implications to devise educational methods for Korean.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teaching materials and grammar books for Korean and found that there was no unity among the morphological presentations of ‘~e daehae(seo).’ Its modifier form ‘~e daehan’ was presented as an additional explanation after ‘~e daehae(seo),’ thus lacking in the provision of grammatical explanation in many cases. The study extracted sentences containing ‘~e daehae(seo)’ or ‘~e daehan’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alyzed them in the former and latter part, and examined them in grammatical agreement. The former part consisted of specific content to cover the direct subject and comprehensive content to cover overall topic content. The latter part was comprised of psychological, linguistic, and thinking expressions. It was important to check and present expressions in the former part and their equal expre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some implications to help with educational plans for ‘~e daehae(seo) ’, ‘ ~e daeha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제시 방법
4. ‘에 대해(서)’, ‘에 대한’의 의미와 용법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