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강원도 하위방언구획 연구

이용수  247

영문명
The Study on the Division of Gangwondo Sub-dialect Using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정성훈(Jung Sung-Hoon)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55권, 145~1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0.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 나타나는 어휘를 검토하여 강원도 방언의 분화 모습을 공시적으로 살펴보고, 강원도 하위방언을 구획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강원도 방언은 크게 영서(嶺西) 방언과 영동(嶺東) 방언으로 구분되는데 영서 방언과 영동 방언의 차이는 큰 것으로 보이며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모습이 관찰된다. 또한 강원도 방언은 대관령을 기준으로 동서로 분화된 힘만큼이나 남북으로 분화하려는 힘도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방언의 어휘 자료를 활용하여 강원도 방언에 네트워크 모델을 적용한 강원도 하위방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강원도의 하위방언 구획을 시도하여 강원도 하위방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원도 방언에서 가장 핵심적인 방언은 평창방언으로 나타났으며, 크게 강원도 핵심 방언권(평창, 정선, 영월, 강릉), 삼척 방언권(삼척), 강원도 북부 해안 방언권(인제, 고성, 양양), 영서 방언권(철원, 화천, 양구, 춘성(춘천), 홍성(홍천), 원주(원성), 횡성) 등 4개의 하위방언권으로 구획되었다. 이를 통해 강원도 방언의 동서 분화뿐만 아니라 남북의 분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ocabulary of Gangwondo, to examine how Gangwondo dialect is divided synchronically and to divide Gangwondo dialect into sub-dialect. Gangwondo dialect is divided into Yeongdong dialect and Yeongseo dial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known to be very large. In other words, various forms of the vocabulary are observed internally. In addition, Gangwondo dialect is likely to have the power to divide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as much as the power that is divide into the east and the west by Daegwallyeong. Therefore, using the vocabulary of Gangwondo, this study constructed a sub-dialect network of Gangwondo which applied a network model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sub-dialect in Gangwondo through sub-dialect division. As a result, Gangwondo dialect is largely divided into 4 groups and the most importan sub-dialect in Gangwondo appeared as Pyeongchang dialect. Besides, we could verify not only the power to divide into the east and the west, but also the power of division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3. 네트워크 자료의 전처리와 행렬자료
4. 강원도 하위방언 네트워크 분석과 군집 분석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훈(Jung Sung-Hoon). (2018).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강원도 하위방언구획 연구. 우리말연구, 55 , 145-173

MLA

정성훈(Jung Sung-Hoon).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강원도 하위방언구획 연구." 우리말연구, 55.(2018): 14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