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용수 264
- 영문명
- Trends and Tasks of Research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A Study of the Past 10 Years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배병덕(Bae, Byoung-Duck) 홍재영(Hong, Jae-Young)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34권 제3호, 95~1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ㆍ외 시각중복장애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시각중복장애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 국내ㆍ외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 6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술지, 출판연도,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방법에 따른 연구 주제 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술지는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21편, ‘시각장애연구’ 19편, ‘American Annals of the Deaf’ 7편 등 주요 3개의 학술지에 분석 대상 65편의 연구물 중 47편(72.3%)이 발표되었다. 출판연도별 결과는 2011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또한 2009년에서부터 2013년까지 5년간 32편(49.2%)이 발표되었으며, 2014년부터 2018년 6월까지 33편(50.8%)이 발표되어, 최근 10년을 기준으로 상반기 5년, 하반기 5년 동안 연구물이 지속적으로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주제는 교사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 실험연구 방법이 주로 이루어졌고, 실험연구 방법에는 단일대상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에서는 맹농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에 따른 연구 주제는 실험연구에서는 상호작용 및 정서적 관계 촉진, 질적 연구에서는 교사 관련 연구 주제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에 대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고, 시각중복장애 관련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f cases of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future studies on this same topic.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65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ducted during the past 10 years. Existing studies were reviewed to establish analysis criteria. Study trends of past study topics were then analyzed with respect to academic journal, publication year, study topic, study method, study subject, and study topics by study methods. Analysis revealed that 47 papers (72.3%) were published in 3 major academic journals out of the total 65, including 21 i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9 in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7 in American Annals of the Deaf.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per year was 2011, although 32 (49.2%) were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13, and 33 (50.8%) between 2014 and June 2018, revealing that studies were regularly published during both halves of the past decade.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topic was teacher-related studies. Most frequent study methods were qualitative and experimental methods, and experimental studies were mostly of single-subject design.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 was visually impaired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Stimulating interaction and emotional relationships were the most frequent topics in the experimental studies, and teachers were the most frequent topic in the qualitative studies.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ggests future topics for studies of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exploring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into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Critical Review of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 Confirmation Bias in the Age of AI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Moral Metacognition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