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aerulein의 담낭수축작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ies on the gallbladder contraction induced by caerulein
- 발행기관
- 대한약리학회
- 저자명
- 조태순(T.S. Cho) 김원준(W.J. Kim) 홍사석(S.S. Ho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약리학잡지』제12권 제2호, 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7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effects of phenoxybenzamine and other related drugs were studied for their interaction with caerulein on gallbladder contraction in anesthetized animals and isolated gallbladder strips. Cholecystostomy and cystic duct ligation were made on anesthetized dog, cat and pig. Pressure changes of gallbladder were measured by a physiological pressure transducer connected to polygraph recorder. Isolated rabbit gallbladder strips were placed in a muscle chamber containing Locke-Ringer solution maintained at 38˚C. The contractile responses were measured by a force-displacement transducer connected to polygraph recorder. Caerulein (30 ~ 200 ng/kg i.v.) produced marked contraction of gallbladder in situ and the cholecystokinetic potencies appear in decreasing order; dog, cat and pig. The response of caerulein was abolished by the large doses of phenoxybenzamine (15 mg/kg i.v.) but not affected with dibenamine, phentolamine or tolazoline. Cholecystokinetic effect of methacholine or barium chloride was also partially inhibited by phenoxybenzamine and the effect of caerulein was weakly inhibited intravenous injection of cyclophosphamide or papaverine. In isolated rabbit gallbladder strips, the response of contraction to caerulein were progressive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phenoxybenzamine along with time exposed. Thes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phenoxytenzamine may inherently inhibit the contractile response of gallbladder to caerulein, and this effect was not related with α-adrenergic receptor blocking a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aerulein의 담낭수축작용에 관한 연구
- 한국산(韓國産) 사독(蛇毒)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 황련성분의 혈압하강 작용
- Caerulein의 흰쥐 취외분비반응에 미치는 phenoxybenzamine의 영향
- 산조인(酸棗仁)의 심장(心臟)에 대한 약리작용(藥理作用)
- Methylene bis (3, 4, 6-trichlorophenoxy acetic acid)의 배설(排泄)에 미치는 deoxycholic acid의 영향(影響)
- 인삼(人蔘) 및 오가피(五加皮) 장기투여(長期投與)가 가계대사(家鷄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 가토(家兎)의 신장기능(腎臟機能)에 미치는 측뇌실내(側腦室內) Prostaglandin F2α의 영향(影響)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