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abitus of High-Class Parents in Japan:focus on schooling and future image of their child
이용수 10
- 영문명
- Habitus of High-Class Parents in Japan:focus on schooling and future image of their child
- 발행기관
- 한국일본교육학회
- 저자명
- 金?淑
- 간행물 정보
-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6권 제1호, 157~1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oughts, values and selection
criterion of high-class Japanese parents focusing on schooling and future image
of their child. This research study had develop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three high-class parents who had inherited large amount of wealth or
settled company. Transcriptions and field note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habitus theory of Pierre Bourdieu.
The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high-class parents who are heirs of great
wealth seemed to lean on children's future job and evaluate the value of
schooling when they select their children' school, with ethos of pressure-free and
distance-sense which are peculiar habitus of Bourgeoisie. In other words, they
seemed to select their children' school suitable for their social position and give
more space when the children select their job from practical value or social
success. And they appeared to have their identity and pride which they had not
only a property but also aesthetic faculties. As conclusion, through inner-entrance
system school, reproduction of educational background (cultural capital) was
possible, and reproduction of wealth (economic capital) was enabled through
inheritance for Japanese high-clas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 방재교육에 관한 고찰
- 한국과 일본의 개정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분석
- 한ㆍ일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 비교 연구:초등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 일본의 교원면허 갱신제 고찰
- 일본 교육기본법에 내재해 있는 교육적 의미의 분석 : 1947 교육기본법과 2006 교육기본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일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비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제대군인 취업을 위한 교육지원 체제 분석:일본 제대군인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 사토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행복교육 탐구
- 일본 진로교육의 현황에 관한 소론
- Habitus of High-Class Parents in Japan:focus on schooling and future image of their child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