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일본의 개정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분석
이용수 246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일본교육학회
- 저자명
- 이다영,구봉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6권 제1호, 87~10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현행 개정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앞으로의
한국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수시 개정에 시사점을 얻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국의 국가수준 체육교육과정 문서와 관련서적, 연구 문헌 등을 수집하여
체육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목표, 내용, 시간 운영, 평가 면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 모두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내에서 학교
급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있다. 둘째, 한국은 체육과 총괄목표 아래 신체 활동 가치 별로 5
개의 하위 목표를 제시하고, 일본은 체육과 교과목표 아래 학년 별로 3개의 목표를 진술하
고 있다. 셋째, 한국은 영역별로 신체활동의 예시만 제시하고 구체적인 수업 내용은 교사가
수업 여건에 맞게 구성하도록 하고 있고, 일본은 저?중?고학년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수
업 내용까지 국가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넷째, 양국 모두 연간 시수 기준으로
수업 운영의 자율성을 학교 급에 부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평가 기준과 방법에 대
해 국가수준에서 상세하게 언급하고, 일본은 기본 지침만 국가수준에서 간략히 제시하고 구
체적인 방법은 학교 급에서 상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ew vers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o provide useful
references for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The contents of study are to
compare formation, goal, contents, time management, assess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with that of Japa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and Japan
have national curriculum formations. Seco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and Japan provide goals of national level but the ways of providing
sub-objectives are different. Third,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is more flexible about grade separation than that of Japan. So they could
be selected on school facilities and learner's interests. Fourth, Physical Education
accounts for about 10% in the curriculum in both Korea and Japan. Finally,
assessment way of Physical Education of Japan is more changeable at school
level than that of Kore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 방재교육에 관한 고찰
- 한국과 일본의 개정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분석
- 한ㆍ일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 비교 연구:초등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 일본의 교원면허 갱신제 고찰
- 일본 교육기본법에 내재해 있는 교육적 의미의 분석 : 1947 교육기본법과 2006 교육기본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일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비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제대군인 취업을 위한 교육지원 체제 분석:일본 제대군인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 사토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행복교육 탐구
- 일본 진로교육의 현황에 관한 소론
- Habitus of High-Class Parents in Japan:focus on schooling and future image of their child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