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축, 불안, 공격성을 가진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모자(母子) 중심 가족미술치료 사례 연구
이용수 560
- 영문명
- A case study of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Child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 with withdrawal, Anxiety, Agg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장혜경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7권 제2호, 257~2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모자 중심 가족미술치료가 위축, 불안, 공격성을 가진 정서행동장애아동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려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D시에 있는 H초등학교 5학년인 12세 남학생과 그의 가족이며, 그들은 모자 중심 가족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50~60분씩 총 2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대상아동에게는 K-CBCL, 행동 관찰지, HTP그림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으며, 그의 부모에게는 Roach의 결혼만족도(Marital Satisfaction Scale: MSS) 검사를 실시하여 부부관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질적 분석으로는 각 회기의 모든 활동들을 관찰하고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 중심 가족미술치료가 대상아동의 위축, 불안,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자 중심 가족치료가 대상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미술치료가 대상아동 부모의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정서행동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모자 중심 가족미술치료가 부부 및 가족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정서행동장애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켜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Child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 with withdrawal, Anxiety,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year-old boy student, who is in the 5th grade of H Element ary school in D city, and his family. They participated in family art therapy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20 sessions, one session a week and each session lasting 50-60 minutes. Research instruments are K-CBCL, Behavior observation Record, HTP for child &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his parent. For Qualitative analysis, all the activities of each session are observed,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Child is effective on reducing withdrawal, Anxiety, Aggression. Second,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Child is effective on reducing Behavior Problems. Third, Family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parent's relation. In conclusion,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Child is proved to be effective on stabilizing family's emotion and improving behaviors and learning attitud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
Key Words : Withdrawal, Anxiety, Aggressi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 Family Art therap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 기법을 적용한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부적응 행동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 학대받은 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 정신분열증 환자와 일반인의 S-HTP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미술치료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신경과학적 고찰
- 아동기 성학대 피해 여성들의 개인미술치료에서 길 그림 검사 활용 사례 연구
- 초등학생의 풍경구성기법(LMT) 반응특성 연구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위축, 불안, 공격성을 가진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모자(母子) 중심 가족미술치료 사례 연구
-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에 나타난 아동의 우울과 상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심리적 불안을 가진 결혼적령기 미혼여성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아동의 불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적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색채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백반증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