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94
- 영문명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the Single Parent's Child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인숙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7권 제2호, 205~2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모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위해 대구에 소재한 ○○모자원 방과 후 공부방에 다니는 9~11세 남녀 초등학생들 중에서 사전검사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에 7명,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7명씩을 각각 배치했다. 프로그램은 총 20회기 4단계로 구성되었고 1주에 1회씩, 회기 당 60분씩 진행했다. 자료 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기위해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했고, 그리고 이들과 집단별 검사시기와의 상호작용 정도를 알기 위해 단순 주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모자가정 아동들의 자아 존중감 증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효과가 없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모자가정 아동들의 사회성 증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효과가 없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모자가정 아동들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과 검사시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모자가정 아동들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의한 활동기간을 충분히 주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a child from single parent famil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 children ranging from 9 to 11 year-old who study at study room in welfare center in Daegu.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each having 7 children. The experiment group was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20 sessions, 1 session in a week and each session lasting 60minutes. Research instruments were employed to measure for degree of self esteem and sociality. Experimental group were evaluated 3 times, pre-test, post-test and further-test after program. SAS program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using repeated measure 2-way ANOVA designed mix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did not showed effectiveness for enhancing self esteem and sociality of single parent's child(p<0.05).
Second, Statistically, art therapy program working time has interaction at highly significant effective at 0.001 level with enhancing self-esteem and sociality of single parent's child.
Key Words : Group Art-Therapy, Parent Families, Esteem, Social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 기법을 적용한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부적응 행동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 학대받은 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 정신분열증 환자와 일반인의 S-HTP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미술치료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신경과학적 고찰
- 아동기 성학대 피해 여성들의 개인미술치료에서 길 그림 검사 활용 사례 연구
- 초등학생의 풍경구성기법(LMT) 반응특성 연구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위축, 불안, 공격성을 가진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모자(母子) 중심 가족미술치료 사례 연구
-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에 나타난 아동의 우울과 상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심리적 불안을 가진 결혼적령기 미혼여성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아동의 불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적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색채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백반증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