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에 나타난 아동의 우울과 상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150
- 영문명
- A Study Case on Children’s Responses reflecting on their depression and symbolism to Parent-Self-Centered-Drawing(PSCD) - Sampling from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정영인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7권 제2호, 189~20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이 부모-자녀 관계 속에서 아동의 우울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 우울한 아동의 인물상에서 보여지는 상징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초등학교 3개교 5학년 270명(남 145명, 여 125명)이었으며,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과 아동우울검사(CDI)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원변량분석으로 사후검정은 Scheffé-test를 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PSCD 아버지상의 반응특성에 따른 우울정도는 남․여학생 모두 얼굴표정, 부정 상징, 필압 세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남학생은 긍정 상징, 여학생은 신체 생략, 인물 크기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PSCD 어머니상의 반응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를 보면 부정 상징, 필압 세기에서 남․여학생 모두 차이가 있었고, 그 외 남학생은 신체 생략, 여학생은 얼굴 표정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PSCD 자기상 반응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에서는 부정 상징에서만 남․여학생 모두 차이를 보였고, 남학생은 얼굴 표정에서 여학생은 신체 생략과 필압 세기에서 우울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우울한 아동(실험집단)의 PSCD 아버지상, 어머니상, 자기상의 상징은 대부분 폭력적이거나 부정적인 표현들이 많이 나타난 반면, 우울하지 않은 아동(비교집단)의 PSCD 상징들은 긍정적인 상호교류의 표현들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case is to develop if Parent-Self-Centered-Drawing (PSCD) could be a good measurement of children’s depression.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to evaluate any shown symbolic characteristics in depressed children. The study case was experimented using Parent-Self-Centered-Drawing (PSCD) and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mong 270 5th graders (145 males, 125 females) in 3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ose data was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n the father-child attachment in PSCD, level of depression has shown in both genders as facial expression, negative symbols, and depth of pencil shading. There were few differences shown such as positive symbols in males and omission of a particular body part, and sizes in females. Secondly, in the mother-child attachment in PSCD, level of depression has shown in both genders as negative symbols, and depth of pencil shading. Besides that, there were also few differences shown such as omission of a particular body part in males and facial expression in females as well. Thirdly, they also had shown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negative symbol in PSCD. On another note, facial expression had affected males’ responses as well as omission of a particular body part and depth of pencil shading in females’.
Lastly, depressed children (case group) categorized their fathers, mothers, and themselves as violent and negative as opposed to un-depressed children (control group) expressed being positive, and interactive with others.
Key Words : Parents-Self-Centered-Drawings(PSCD), Depression, Symbolism, Childre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 기법을 적용한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부적응 행동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 학대받은 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 정신분열증 환자와 일반인의 S-HTP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미술치료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신경과학적 고찰
- 아동기 성학대 피해 여성들의 개인미술치료에서 길 그림 검사 활용 사례 연구
- 초등학생의 풍경구성기법(LMT) 반응특성 연구
-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위축, 불안, 공격성을 가진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모자(母子) 중심 가족미술치료 사례 연구
-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에 나타난 아동의 우울과 상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심리적 불안을 가진 결혼적령기 미혼여성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아동의 불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적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 색채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백반증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