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와 치료적 요인의 연구 경향과 향후 과제

이용수  169

영문명
Review of Research on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Counseling/therapy and Future Suggestions of Group Art Therapy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전종국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4권 제3호, 577~59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에서 작용하는 치료적 요인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집단상담의 효과를 설명하는 치료적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개관하고, 집단상담에서의 치료적 요인의 분류, 발달단계 및 내담자 특성에 따른 치료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외래환자 및 자기성장 집단에서는 대인간 학습, 자기이해(통찰), 정화, 그리고 응집성 요인이 강조되었고 집단발달 단계에 따라 치료적 요인이 일관성있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집단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찰에 근거하여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치료적 요인의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ndings dealing with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counseling/therap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in group art therapy.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on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counseling and therapy, except inpatient groups, one of the striking observations is the three main streams of general research tendencies. The most potential therapeutic factors for any particular group vary as a function of the group being studied, the stages of group development being sampled, or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factors is varying with the level of group function, interpersonal learning, self-understanding(insight), catharsis, and cohesion are highly emphasized in outpatient groups and self-growth groups. These factors are common factors in group counseling and therapy. A literature on stages of group development supports Yalom's hypothesis that therapeutic factor is differently valued as group development, but shows the inconsistent results. Recently, there is a growing tendancy that the perception on particular therapeutic factor is a function of different participants within group. Based on above observations of therapeutic factors, Future directions for group art therapy are discussed.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Therapeutic Factor, Group Counseling/Therapy, Group Development Sta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국. (2007).집단미술치료와 치료적 요인의 연구 경향과 향후 과제. 미술치료연구, 14 (3), 577-596

MLA

전종국. "집단미술치료와 치료적 요인의 연구 경향과 향후 과제." 미술치료연구, 14.3(2007): 577-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