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뭉크(Munch)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이미지를 통한 내면세계 연구
이용수 192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ner World through the Woman's Images in the Works of Munch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강미화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4권 제3호, 479~5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르웨이의 대표적인 화가인 에드바르드 뭉크(Edvard Munch)는 표현주의 예술의 선구자로 꼽힌다.
본 연구는 뭉크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이미지를 통해서 화가가 평생 동안 시달렸던 존재론적 불안과 두려움의 근원을 밝히고, 그와 연관된 화가의 내면의식과 심리적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작품에 재현된 여성이미지를 세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이 지니는 시대적, 예술사적 의미와 더불어 화가 개인의 생애사적 체험에 기초한 주관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뭉크는 세 유형의 여성이미지를 통해서 사랑은 생의 불안을 낳는 가장 큰 요인이며, 사랑이 도달
하는 곳은 결국 죽음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작품에 반영된 사랑과 삶, 여성에 대한 화가의
부정적인 정서는 어린 시절 부모와의 ‘불안전 애착관계’에 기인한 것이다. 즉, 화가의 내면에 잠재된
‘상실’과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불안을 야기하고, 불안에 대한 방어기제가 사랑에 대한 거부와 배척
을 낳은 것이다. 결국 뭉크의 작품에 표현된 불안과 죽음은 좌절된 욕구, 즉 사랑과 삶에 대한 갈망
의 또 다른 표현인 것이다. 현대인들의 심리상태를 예시해주는 뭉크의 작품들은 무의식의 표출과 이
해를 돕는 미술치료의 매체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A representative artist of Norway, Edvard Munch is regarded as a forerunner of expressionism.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basis of anxiety and fear about the existence that the artist suffered throughout his entire life through the images of women depicted in his art, and have reviewed the processes of changes of internal consciousness and psychology of the artist in connection with that.
For this, I have divided the images of women reproduced in his works into three categories and I have analyzed the subjective meaning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artist in his life together with the meanings of epochal and artistic history that each category possessed.
Through three different types of women, Munch emphasized that love is the biggest factor
causing anxiety in life and the final destination of love is death after all. Negative emotions of the artist about love, life, and women reflected in his art works all originated from his insecure
attachment with his parents during his youth. In other words, fear of loss and rejection embedded in the inner world of the artist caused anxiety and a defensive mechanism against that anxiety produced the rejection and dismissal of love. After all, fear and death expressed in his art works were another expression of frustrated desires, that is, aspiration for love and life. Furthermore, the art works of Munch that exemplify the psychological status of modern people can be used as media for art therapy that facilitates th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ubconscious.
Key Words : Art Therapy, Anxiety, Death, Insecure Attach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