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묘화에 나타난 아버지의 모습

이용수  68

영문명
Father's figure in P.S.C.D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정현희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4권 제1호, 95~10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1.0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가정에서 아버지 역할과 어머니 역할은 뚜렷이 구분되었고, 아버지는 사회적으로 가정을 대표하며, 가족에 대해 경제척 자원을 제공해 주고, 사회규범의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주도적인 역할에 비해 주변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가정의 핵가족화와 취업여성의 증가는 가정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고, 전통적으로 뚜렷이 구분되었던 부모의 역할에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아동의 사회화과정에 대한 연구들은 아동이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각기 다른 종류의 자극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의 어느 한쪽에서만 받는 일방적인 자극에 비해 양쪽에서 자극을 받을 때,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더 유리함을 제시하고 있다(Lamb. 1986).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ildren's viewpoint on their fathers from P.S.C.D. 132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asked to draw P.S. C.D. Through the P.S.C.D.. they draw their feelings towards their fathers and described their feelings in their own wor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thers had the authority in the family and the most prominent description for father among the boys was in terms of the provider of the family. Children described their fathers as busy and tired. and children had a psychological deficit of a father. This problem will be solved through the fathers' own awareness of their image perceived by childr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희. (1997).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묘화에 나타난 아버지의 모습. 미술치료연구, 4 (1), 95-106

MLA

정현희.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묘화에 나타난 아버지의 모습." 미술치료연구, 4.1(1997): 95-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